학문
한글이 창제되고 국민들에게 어떻게 전파가 되었나요?
문득 전일 한글 창제일을 맞아 뉴스를 보다가 궁금해 졌는데 한글을 만들고 난 이후에 국민들에게는
어떤 방식으로 교육 및 전파가 되었는지 어떻게 역사적으로 기록 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성들은 억울한 일을 문서로 작성할 능력이 없으므로, 억울함을 전달하는 방법은 여전히 막막하였는데, 언문이 보급되자 문자 생활이 가능하게 된 백성들 중에는 직접 서장을
작성하여 상언하는 백성들이 생기게 되었다.
한 예로 어느 가난한 참판의 아내가 가난에
못 이겨 언문으로 상언을 하여 그 처지를
구제받은 이야기가 있고<조선왕조실록 숙종 25년 (1699년) 4월 3일>, 직계 자손이 끊겨 제사를 지내기 어렵게 된 늙은 부인이 제사를 다른 자손에게 옮겨주도록 상언하는 이야기<조선왕조실록 영조 19년(1743년) 2월 5일>, 소박을 맞고 쫓겨 난 여인이 시아버지의
상례에 참여했다가 집안 남자들로부터 크게
모욕을 당하여 목숨을 끊으면서 남긴 억울함을 호소한 이야기<조선왕조실록, 숙종27년(1701년) 4월 25일>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은 한글을 보급하기 위하여 훈민정은 해례본을 발간하고 1445년에는 용비어찬가를 편찬 하며 국가 윤리라고 볼 수 있는 삼강행실을 한글로 번역하여 백성들에게 반포하였고 하급관리 채용이나 관가 제출 서류 등을 한글로 작성 하도록 하며 점차 한글이 전파되게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