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을 받은 장애인은 누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매년마다 12월 10일에 선정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데
혹시 노벨상을 받은 장애인은 누가 있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정신질환자가 노벨 경제학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심각한 정신 분열증을 앓은 병력을 가진 존 내쉬가 바로 그. <뷰티풀 마인드>라는 제목의 책과 영화로 한국에도 유명한 존 내쉬는 자타가 공인한 정신질환자였으며, 노벨상 시상식 공식 석상에서는 장애를 사랑으로 극복했다면서 아내에 대한 끝없는 사랑과 존경을 표시한 바 있습니다.
인격장애인도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베트남 평화협상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미국의 헬리 키신저와 월맹의 총리가 노벨 평화상을 받은 그것. 그러나 키신저는 전쟁광이자 국제적인 전쟁 범죄자였습니다. 그래서 이 둘에게 주어진 평화상은 노벨상 최악의 ‘어이없는 수상작’으로 손꼽힌다고합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 또한 장애인으로서는 노벨상을 받은 인물 중 한 명입니다. 그는 과거 박정희 정권 시절 받은 고문 후유증으로 인해 다리가 불편해서 지팡이를 짚고 다녔습니다. 하지만 김대중 정권 시절 장애인 삶의 질은 오히려 추락하였고, 정부 관료들은 장애인에 대한 정부 지원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일부 장애인 단체들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을 반대하고 나섰던 것이죠. 실제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장애인 등록을 한 적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과 범주에 따라 다르겠지만
존 내쉬는 정신질환자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미국의 헬리 키신저, 월맹 총리는 인격장애인으로써 노벨평화상을 받았습니다.
이 둘에게 주어진 평화상은 노벨상 최악의 어이없는 수상작으로 손꼽힙니다.
1974년 수상자였던 일본의 전 총리 사토 에이사쿠의 사례도 이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박정희 정권 시절 받은 고문의 후유증으로 다리가 불편한 김대중 전 대통령도 장애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은 자신을 장애인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답변에 답변드리자면 없는 것으로 아는데 궁금증이 유발 됩니다.
아직까지는 없지만 앞으로는 생기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안녕하세요. 노벨상은 세계적인 과학, 문학, 평화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은 사람에게 수여되는 상입니다. 노벨상은 장애 여부와는 무관하게 인정받은 업적에 대해서만 수여됩니다.
그러나, 노벨상 수상자들 중 장애인이 있었던 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81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International Physicians for the Prevention of Nuclear War(IPPNW) 단체의 일원 중 한 명인 Bernard Lown은 심장질환으로 인한 장애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197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David Baltimore은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신장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상자들이 노벨상을 수상한 이유는 그들이 과학, 문학, 평화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벨상의 수상 기준은 장애 여부와는 무관하며, 노벨상 수상자들 중 장애인이 있었을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 Cornforth, John Warcup 콘포스
2. Nicolle, Charles Henri 샤를 니콜
3. Sherrington, Charles 찰스 셰링턴
이 세분은 청각장애가 있는 노벨상 수상자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노벨상을 받은 세 명의 청각장애인>
1. Cornforth, John Warcup 콘포스
1917년 9월 7일 영국, 호주 시드니 출생 화학자, 과학자, 노벨상 수상자
2. Nicolle, Charles Henri 샤를 니콜
1866년 9월 21일 프랑스 루앙 출생
프랑스 의료 연구원, 청각장애
최초 노벨상 수상
3. Sherrington, Charles 찰스 셰링턴
1857년 11월 27일 영국 출생 의사,
의학, 노벨상 수상자
-출처:네이버 블로그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랑스의 루이 브라유리 (Louis Braille) - 1952년 노벨 평화상 수상, 저시력자를 위한 점자법 발명으로 인정받음
이스라엘의 메나헴 벨 (Menachem Begin) - 1978년 노벨 평화상 수상, 이스라엘과 이집트 간의 평화협정을 체결함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알베르트 루투 (Albert Lutuli) - 1960년 노벨 평화상 수상, 인종차별과 전쟁을 거부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권운동을 주도함
미국의 헬렌 켈러 (Helen Keller) - 1955년 라이프타임 공로상 수상, 장애를 극복하고 장애인의 권리와 사회 참여를 촉진하는 데 노력함
현재까지 노벨상을 받은 장애인은 4명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들 중에 장애를 가진 사람은 콘포스 (청각장애), 샤를 니콜(청각장애), 찰스 셰링턴(청각장애) 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벨상을 받은 장애인은 총 3명이 있었으며 다 청각장애인 입니다.
찰스 셰링턴, 샤를 니콜, 콘포스 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196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은 학습 장애가 있었습니다. 그 당시 난독증이란 개념이 없었으나 현재 난독증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책을 직접 저술한 적이 없고, 자신이 구술한 것을 그의 친구가 대신 써줬습니다. 그리고 강의한 것도 누군가가 필사해서 책을 써줬습니다.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2018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은 퇴행성 운동 신경 질환인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루게릭병)을 앓았습니다. 그는 21살에 이 장애를 진단 받았습니다.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197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은 부분적인 난청이 있었습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어린 시절 감염 때문이라고 합니다.
시인 비스와바 심보르스카(1996년 노벨 문학상 수상)는 청각 장애가 있었고, 평생 보청기를 사용했습니다.
아메드 즈웨일(1999년 노벨 화학상 수상)은 리처드 파인만처럼 난독증을 앓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벨상을 받은 사람 가운데 3명의 청각 장애인이 있는데 첫째는 Cornforth,John Warcup 호주 시드니 출생 화학자로 효소 촉매반응의 입체화학에 관한 연구로 1975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으며 둘째는 Nicolle,Charles Henri 프랑스 루앙 출생으로 1928년에 발진티푸스 연구로 생리,의학상을 받은 최초의 청각장애인 이었고 셋째는 Sherrington,Charles 영국 출생 의사로 1932년 뉴런(neuron)의 기능에 관한 발견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습니다.
네, 노벨상은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 중 하나이며, 노벨상은 물리학, 화학, 생리학 또는 의학, 문학, 그리고 평화 분야에서 우수한 업적을 보인 사람에게 매년 수여됩니다.
장애인 중에서는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도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예로는 1976년에 노벨 생리학 또는 의학상을 수상한 비흐스테인(Vincent du Vigneaud) 교수가 있습니다. 그는 이뇨작용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체 안지오텐신(ANG)을 발견하고 분석하여, ANG의 화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을 규명한 공로로 인해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2014년에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도의 아이슬람교 신자이자 국제적인 인권 운동가인 카일라시헤드(Kailash Satyarthi)가 있습니다. 그는 인도 내 어린이 노동과 관련된 인권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어린이 노동의 문제를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수상자로 퀴리 부인이 있지요. 퀴리부인
은 장애를 가지고도 방사선을 연구했고 라듐을
발견해서 인류의 과학 발전에 이바지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벨상은 물리학, 화학, 의학, 문학, 평화, 경제 등의 분야에서 탁월한 공헌을 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매년 수여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입니다. 수년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노벨상을 수상했지만, 그 중 장애인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가장 잘 알려진 장애인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은 사망한 지 몇 년 후인 2018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입니다. 호킹은 마비되고 말을 할 수 없는 퇴행성 질환인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을 앓았지만 평생 물리학 분야에 획기적인 공헌을 계속했습니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장애인 노벨상 수상자는 2013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캐나다 작가 앨리스 먼로입니다. 먼로는 읽기와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장애인 난독증과의 투쟁에 대해 공개적으로 밝혔으며 그 상태에 대한 그녀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녀의 글에 영향을 미쳤다.
다른 장애인 노벨상 수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96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고 부분맹인 존 스타인벡.
1995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어린 시절의 질병으로 한쪽 귀가 들리지 않는 Joseph Rotblat.
로버트 에드워즈는 201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척추 부상으로 이동성이 제한되었습니다.
이들은 장애가 있는 노벨상 수상자의 몇 가지 예일 뿐이지 만 자신의 장애에 대해 공개되지 않은 다른 사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7년 9월 7일
영국, 호주 시드니 출생
화학자, 과학자, 노벨상 수상자
어린 시절에 청각을 잃었으며 시드니 대학 (BSC, 1937 MSC, 1938)과 옥스퍼드 대학 (디 필. 1941)을 졸업했다. 영국 의학연구평의회 연구원을 거쳐(1946∼1962), 셸오일사(社) 부설 연구재단의 밀스테드 효소화학 연구소장(1962∼1975), 워릭대학 부교수(1965∼1971), 서식스대학 초빙교수 및 교수를 역임하였다. 효소 촉매반응의 입체화학에 관한 연구로 V.프렐로그와 함께 1975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페니실린의 구조 및 스테로이드의 전(全)합성 등, 천연물유기화학 연구에서 유기화학과 생화학의 경계영역 연구로 옮겨, 지질(脂質)의 생합성이 효소반응에서 입체선택적으로 나아가는 것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