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Panda
Panda23.08.20

드라이 아이스에 물이 닿으면 수증기가 나오는 이유가 뭘까요?

드라이 아이스를 물에 담구게 되면 부글부글 끓다가 수증기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러한 현상이 어떤 화학적 반응에 있어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드라이 아이스가 소멸될때까지 물에서 수증기가 나오는데 어떤 현상인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 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의 고체 상태입니다. 물과 드라이 아이스가 만나면 수증기가 나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브리메이션: 드라이 아이스는 고체 상태에서 곧바로 기체 상태로 전이되는 서브리메이션이라는 과정을 겪습니다. 일반적인 물은 고체 상태에서 액체로 변하고,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증발과정을 거칩니다. 그러나 드라이 아이스는 고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과정이 직접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물과 만나면 바로 기체로 변하게 됩니다.

    2. 온도 차이: 드라이 아이스는 매우 낮은 온도인 약 -78.5°C에서 존재합니다. 물과 만나면 드라이 아이스의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하면서 주위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주변 공기의 습기가 응축되어 수증기로 나타나게 됩니다.


  • 드라이 아이스는 이산화탄소 (CO2)의 고체 상태로, 온도가 매우 낮습니다. 물과 만나면 드라이 아이스의 표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물 분자가 증발하여 수증기가 생성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은 증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물 분자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드라이 아이스와 물이 만나면 드라이 아이스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드라이 아이스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물 분자들의 열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이 열에너지를 얻은 물 분자들은 빠르게 기체 상태로 변하면서 수증기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열역학적인 원리에 따라서 발생하며, 드라이 아이스의 온도가 매우 낮아서 주변 열을 흡수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 아이스는 이산화탄소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분자들은 고체 상태에서 서로 떨어져 있습니다. 물과 닿으면 물 분자들이 드라이 아이스의 표면에 충돌하면서 열을 전달합니다. 이 열은 드라이 아이스의 표면을 가열하여 이산화탄소 분자들을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전환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