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탁월한태양새285
탁월한태양새28523.05.24

불씨잡변은 어떤 책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옛날 한국사적으로 봤을 때 불씨잡변은 무엇에 대해 다룬 책이었나요?

저술한 사람은 누구이며 불씨잡변의 영향력은 어땟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4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씨잡변』은 『삼봉집』 제9권에 수록된 정도전의 저술서로, 서문은 권근과 신숙주(申叔周)가 지었고, 발문은 정도전의 증손 정문형((鄭文炯)이 지었다. 『불씨잡변』의 논설 조목은 도합 20편인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불씨윤회지변(佛氏輪廻之辨), ② 불씨인과지변(佛氏因果之辨), ③ 불씨심성지변(佛氏心性之辨), ④ 불씨작용시성지변(佛氏作用是性之辨), ⑤ 불씨심적지변(佛氏心跡之辨), ⑥ 불씨매어도기지변(佛氏昧於道器之辨), ⑦ 불씨훼기인륜지변(佛氏毁棄人倫之辨), ⑧ 불씨자비지변(佛氏慈悲之辨), ⑨ 불씨진가지변(佛氏眞假之辨), ⑩ 불씨지옥지변(佛氏地獄之辨). ⑪ 불씨화복지변(佛氏禍福之辨), ⑫ 불씨걸식지변(佛氏乞食之辨), ⑬ 불씨선교지변(佛氏禪敎之辨), ⑭ 유석동이지변(儒釋同異之辨), ⑮ 불씨입중국(佛氏入中國), ⑯ 사불득화(事佛得禍), ⑰ 사천도이담불과(舍天道而談佛果), ⑱ 사불지근연대우촉(事佛至謹年代尤促), ⑲ 벽이단지변(闢異端之辨)의 19편(雜辨 15편, 前代事實 4편) 등이 수록되었고, 권말에 정도전 자신이 다시 부설을 첨가하였다.

    이 가운데 잡변(15편)은 주로 불교의 인과설주1 · 윤회설 · 화복설 등 세속의 신앙과 결부된 불교의 교설을 비판한 것과 인간의 마음[心]과 본성(本性)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오류를 비판한 내용이다. 전대 사실(4편)은 불교 전래 이후, 중국 역대 왕조의 역사적 경험을 들어 불교가 국가에 유해한 종교임을 논술한 것이다.

    불교 교설에 대한 비판에서 『불씨잡변』은 성리학의 두 중심 개념인 이(理)와 기(氣)의 개념이 많이 응용되었다. 즉, 인간과 만물의 존재가 있게 되는 보편적 원리의 핵심엔 이의 개념이 자리잡고 있고 그렇게 해서 존재하게 된 인간과 만물이 각기 차별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근거의 중심에는 기의 개념이 자리잡음으로써 불교의 윤회설 · 인과설 등이 비판되고 있다.

    이러한 이기관(理氣觀)에 입각한 존재에 관한 이론이 즉자적(卽自的)으로 도덕 규범에 관한 이론으로 전개되면서, 인간의 마음의 주재자로서의 이(理)가 상정되었다. 그리고 이 이가 곧 본성이라고 주장하여 인간의 마음과 본성[心性]에 관한 불교적 교설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요컨대 『불씨잡변』에 따르면, 불교의 교설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그릇되게 하고, 이 때문에 사람의 정의(情意)를 사리 사욕에 골몰하게 하여 의리와 공의(公義)를 망각, 사회적 질서 또는 인륜의 질서를 파괴한다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불씨잡변』을 통한 정도전의 불교에 대한 철학적 비판은 불교의 교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반한 것은 아니었다. 즉, 유교적 편견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자기 나름의 억측과 독단이 많다. 그러나 성리학이 전래된 초기에 이미 이기론적 관점에 입각해 불교의 교의를 파악하고 유가적 관점(儒家的觀點)을 제시하고 있는 점은 조선조 유학 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그의 불교관은 이후 조선조 유가들의 불교에 대한 일반적 태도를 결정짓는 것이기도 하였다. →삼봉집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불씨잡변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전기 문신 정도전이 저술한 불교 교설에 대한 평론서 입니다.

    삼봉집 제9권에 수록된 정도전의 저술서로 서문은 권근과 신숙주가 지었고 발문은 정도전의 증손 정문형이 지었습니다.

    불씨잡변의 논설 조목은 도합 20편이며 내용으로는 불씨윤회지변, 불씨인과지변, 불씨심성지변, 불씨작용시성지변, 불씨심적지변, 불씨매어도기지변, 불씨훼기인륜지변, 불씨자비지변, 불씨진가지변, 불씨지옥지변, 불씨화복지면, 불씨걸식지변, 불씨선교지변, 유석동이지변, 불씨입중국, 사불득화, 사천도이담불과, 사불지근연대우촉, 벽이단지변 등이 수록, 권말에 정도전 자신이 다시 부설을 첨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잡변은 주로 불교의 인과설과 윤회설, 화복설 등 세속의 신앙과 결부된 불교의 교설을 비판한 것과 인간의 마음과 본성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오류를 비판한 내용이며 전대 사실은 불교 전래 이후 중국 역대 왕조의 역사적 경험을 들어 불교가 국가에 유해한 종교임을 논술합니다.

    불교교설에 대한 비판에서 불씨잡변은 성리학의 중심개념인 이와 기의 개념이 많이 응용되었는데 인간과 만물의 존재가 있게 되는 보편적 원리의 핵심에는 이의 개념이 자리잡고 있고 그렇게 해서 존재하게 된 인간과 만물이 각기 차별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근거의 중심에는 기의 개념이 자리잡음으로써 불교의 윤회설, 인과설 등이 비판됩니다. 이기관에 입각한 존재에 관한 이론이 즉자적으로 도덕 규범에 관한 이론으로 전개되며 인간의 마음의 주재자로서의 이가 상정되었으며 이가 곧 본성이라 주장해 인간의 마음과 본성에 관한 불교적 교설의 오류를 지적합니다.

    정도전이 이 글을 탈고한 시점은 태조 7년이었지만 그 해 1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 의해 정도전이 살해되면서 한동안 잊혀졌다가 수십년이 지난 뒤 정도전의 먼 친척이 이 글을 발견해 다시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개국공신 삼봉 정도전이 태조 7년에 탈고한

    성리학 관점에서 불교를 비판한 저서입니다.

    불씨(佛氏)란 유학자들이 부처를 낮춰 부르던 단어로,

    <불씨잡변>이란 제목을 우리말로 풀어쓰면

    ‘부처씨의 주장에 대한 여러 반박’ 정도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씨 잡변이라는 말은



    정도전이 불교에 대한 흔히 낱낱이 파헤친다고 그러죠. 그런 목적으로 비판한 책인데



    당시 권문세족 때의 불교는 고리대금으로 인해서 농민들을 수탈하고 또한 온갖 악행을 저지르기도 했어요.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불교는 사리사욕 채우기에 급급했고 타락이 일어나게 된 거죠.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씨잡변은 정도전이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해 불교를 극단적으로 비판 혹은 평가절하한 저서입니다. 저서 제목에서 드러나듯 부처님을 불씨라고 극히 낮게 칭한 데에서 그 의도가 나타납니다. 고려 멸망의 원인이 불교에 대한 지나친 후원과 재정낭비, 그리고 불교의 세속화와 타락을 적나라하게 비판한 저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