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아이가 태어나면서 하는 반사행동이 여러가지가 있다고 하던데 뭔지 알 수 있나요?

제가 아는 반사행동은 바빈스키반사오 파악반사밖에 기억이 안 납니다.

조카가 8개월인데 그러한 반사행동을 보니 아이들은 다 똑같이 반응하고

자라는구나를 새삼 느끼게 됩니다.

언급한 반사 말고 다른 반사는 뭐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기들이 태어나면서 하는 반사행동에는 1. 루팅반사: 아기의 입 모퉁이를 쓸어보면 머리를 돌리고 입을 열어 쓸어진 방향으로 향하는 행동 2. 흡인반사 : 아기의 입천장에 무언가가 닿으면 자동적으로 빠는행동 3. 모로반사 : 깜짝놀라며 팔, 다리, 손가락이 활짝 펴진 다음 양팔을 포옹하듯 가슴으로 오므리는 행동 4. 목반사 : 아기가 누워있을때 고개를 돌려서 얼굴이 향하는 방향으로 팔과 다리를 펴지고 반대 필과 다리는 구부리는 운동 5. 걷기반사 : 아기의 양팔을 잡거나 겨드랑이 밑을 잡아주고 바닥에 세우면 걷는 것처럼 한쪽다리를 든다음 다른한쪽을 드는 행동 6. 움켜잡기반사 : 아기의 손바닥을 건드리면 손가락을 오므려서 부모의 손이나 물체를 잡는 행동등이 있습니다. 반사운동이 나타나는 시기와 소실 시기는 아기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 태어나면서 아이가 가진 반사는 바빈스키와 파악 외에도 입에 무언가 닿으면 빠는 입술반사가 있을수있으며

    아이가 놀랄수있는 모로반사가 대표적일수있을것입니다.

  • 아기가 지금 8개월 이라면 모로반사가 있겠습니다.

    모로반사란 깜짝 놀라며 손과 발을 움찔 거리는 것입니다.

    즉, 아기가 태어나면서 외부 또는 내부 자극에 의해 놀라면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사를 일컫습니다.

    아기의 의지와 상관없이 팔과 다리가 움직이는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오히려 모로반사가 없다면 뇌와 중추신경계의 이상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로 합니다.

    모로반사는 생후 3개월부터 점자척으로 사라지게 되는데요. 생후 6개월이 되면 완전히 사라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이론일 뿐 입니다. 모로반사가 심한 아이는 오래 지속이 되어 7개월 이나 8개월 무렵 완전히 사라지게 됩니다.

    즉, 모로반사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 신생아의반사에는

    1.흡철반사(입술반사혹은빨기반사)

    2.모로반사

    3.바빈스키반사

    4.파악반사

    참고하시면좋겠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신생아의 반사행동은 생존, 자기보호를 위해 보이는 반사행동들로 특정자극에 대한 무의식적, 자동적인 반응들을 의미합니다. 바빈스키 반사이외에 몇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는 빨기 반사인데요. 태어나자마자 하게됩니다. 입술 근처를 가볍게 자극하면 머리를 돌 리고 입술을 갖다대어 빨기 시작합니다.

    두번째는 무릎반사인데요. 생후 2-3일동안 슬개건, 종지뼈 아래에 힘줄을 가볍게 치면 무릎을 펼치는 반사입니다.

    세번째는 이두근 반사입니다. 태어나고 한동안 일어납니다. 팔의 안쪽 근육을 치면 수축합니다.

    네번째는 걸음마 반사입니다. 생후 3-4개월까지 일어납니다. 아기의 팔 아랫부분을 잡고 평평한 바닥에 앞쪽으로 구부려주면 걷는 동작을 비슷하게 합니다.

  • 신생아는 외부의 자극에 본능적인 반사반응을 나타냅니다. 이 반응들은 아기의 신경과 근육의 성숙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신경계가 발달하고 신체운동을 스스로 조절하게 되면 반사반응들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됩니다.

    첫번째 쥐기반사는 아기의 손바닥을 가볍게 자극하면 반사적으로 손가락을 꼭 쥡니다. 이것이 파악반사입니다.

    두번째 걸음마반사는 아기의 겨드랑이 밑을 감싸안은 채 평평한 바닥에 양발을 딛게하면 아기는 걸음마를 흉내냅니다.

    세번째 먹이찾기 반사는 뺨이나 입술 한쪽에 자극을 주면 고개를 그 방향으로 돌리면서 젖을 찾는듯한 행동을 합니다.

    네번째 모로반사 안았던 아기를 살짝 내려놓으면 갑자기 두 팔과 다리를 벌리고 손가락을 폈다가 다시 안는듯한 자세를 취하는 반사를 보입니다. 위와 같은 반사반응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