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23.06.15

일본은 군대라고 안하고 자위대라고 부른 이유가 뭔가요?

보통 한나라의 국방을 지키는 군대는 필수라고 합니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은 군인들이 있는 곳을 군대라고 하는데 왜 일본만 유독 자위대라고 부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노란원앙276
    노란원앙276
    23.06.15

    안녕하세요. 노란원앙276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2차 세계 대전에서 패하면서 일본군이 강제 해산되었습니다.
    그래서 일본은 공식적으로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 있는 군대를 보유할 수 없습니다.

    미일안전보자조약에 따라...
    일본 스스로 방어를 위한 무력의 보유와 행사를 하겠다는 개념으로 '군대' 라는 용어 대신 '자위대' 라고 부르게 된 겁니다.
    자위대는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 없지만 다른 나라의 공격으로부터 본인들을 보호할 수 있는 군대라고 볼 수가 있는거죠.

    해석의 차이일 것 같은데요.
    다른 나라가 일본을 공격하였다고 하였을 때,
    일본이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도 있을 거에요.
    명분은 일본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 밖에 없다라고 하겠지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풍성한고니128입니다. 일본은 2차세계대전 전범국가여서 군대를 못갖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자위대입니다. 자위대는 공격은 못하고 방어만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대찬쌍봉낙타238입니다.

    일본은 2차세계대전을 일으키고 연합군에게 패배, 그 후 조약을 맺으면서 일본이 가지고 있던 식민지를 해방하고 군대를 가질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일본은 군대(공격과 방어 모두 가능한 군사집단) 대신 나라를 방위하기 위한 목적인 자위대(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목적으로만 이루어진 집단)를 창설하였습니다.

    ​자위대는 오직 자신의 나라(일본)를 방위하는 목적이므로 선전포고를 할 수 없지만 최근 일본이 우익화되면서 헌법 개정을 통해 일본 본토를 벗어나 타국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군대로 거듭나기 위한 작업이 진행중이며

    이로 인해 동북아 및 일대 주변국들 안보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수리무입니다.

    일본은 군대를 보유할 수 없습니다.

    헌법으로 군대보유를 금지하고 있는데

    이 헌법을 유리하게 해석하여 방어목적의 군대는 보유 할 수 있다고 하여

    자위대라고 합니다. 공격은 못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