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귀한비둘기35
귀한비둘기3521.03.21

과산화수소를 상처 부위이 뿌리면 거품이 나잖아요~

상처가 나면 상처 부위에 포비돈요오드를 바르거나 과산화수소를 뿌려 소독 후 연고를 바르잖아요~

그런데 과산화수소를 뿌리면 상처부위에 거품이 나는데 거품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연고를 바르는게 맞는지 아니면 거품을 닦은 후 연고를 바르는게 맞는지, 둘 다 상관 없는지 궁금해서 글 올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문용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정상 조직 세포를 손상 시킵니다

    (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면서 생기는 산소의 산화력으로 살균하는건에 산화력이 너무 강하여 정상 세포까지 파괴합니다)

    2. 상처 주변 피부에 소독 효과가 적습니다

    (손상된 세포에 있는 카탈라아제로부터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면서 생긴 산소로 소독효과가 생기는데 상처 입지 않은 주변 세포는 카탈라아제가 없기 때문에 산소가 생기지 않고 소독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아예 소독 효과가 없다는건 아니지만 충분한 소독 효과를 보긴 어렵습니다)

    3. 습윤 드레싱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이 많이 있어 굳이 과산화수소를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포비돈, 염화벤제토늄 성분 살균약 등등 )

    굳이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신다면 적당히 닦아내고 말린 다음 연고 발라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둘 다 큰 상관은 없으나, 연고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거품이 없는 상태에서 연고를 바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과산화수소에서 생겨나는 거품은 산소이며, 비교적 단시간 내에 사라집니다. 닦는 과정에서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닦게될 시 유의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독은 수초이내에 되니 상관없구요, 요즘은 상처에 과산화수소는 잘 쓰지 않습니다.
    자극이 강하고 흉터에 도움이 안되서, 심한상처에는 포비돈요오드, 그렇지 않은상처에는 식염수나 무자극무색소독약을 사용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상처가 나면 상처 부위에 포비돈요오드를 바르거나 과산화수소를 뿌려 소독 후 연고를 바르잖아요~

    그런데 과산화수소를 뿌리면 상처부위에 거품이 나는데 거품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연고를 바르는게 맞는지 아니면 거품을 닦은 후 연고를 바르는게 맞는지,

    <<--- 둘 다 상관 없지만 조금 기다렸다 (살균 소독 중)연고 바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