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힘센사자51
힘센사자51
23.02.07

공황장애는 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나이
23
성별
남성

평상시 일상 생활을 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는데 특정장소에만 가면 불안증과 답답함을 토로하는경우 공황장애 증상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공황장애는 왜 발생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명훈 의사blue-check
    김명훈 의사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23.02.07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공황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은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빠르게 뛰고 터질것 같이 심해지는 것입니다. 가슴 통증, 압박감, 답답함을 느낄수도 있습니다. 호흡 곤란이나 목이 눌리는 느낌, 숨이 잘 쉬어지지 않아 숨을 쉬기 위한 과호흡으로 숨이 가빠지는 증상, 울렁거림, 어지러움 등으로 정신을 잃고 쓰러질 듯한 증상에 공포감으로 통제력을 상실한 느낌도 들수 있습니다. 또한 예기불안이 특징적입니다. 예기불안은 공황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공황발작에 노출될 것에 대한 상상이나 노출되기 전 공황발작과 비슷한 불안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대중교통, 터널, 고속도로 운전을 피하기도 합니다.

    공황장애의 원인은 아직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합니다. 가족 중 공황장애가 있는 경우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심한 질병, 손상, 가족의 사망, 신체 증사에 대한 심한 경고나 주의 등으로 심리적인 원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카페인 및 코카인, 메스암페타민 등 각성제도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정신분석 이론이나 인지행동 이론 같은 심리사회적 요인과 더불어 최근의 연구는 생물학적 요인이 공황장애의 주요한 원인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뇌 기능과 구조의 문제들이 보고 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등 신경 전달물질 시스템의 이상, 측두엽, 전전두엽 등의 뇌 구조의 이상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공황장애 환자의 경우 많은 수가 증상 발생 전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환경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공황 장애는 주로 사람이 많은 곳을 가거나 일이 풀리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극심한 스트레스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