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사원경제는 구체적으로 어떠했는지요?
고려시대의 사원경제, 그리고 그 중에서 팔관회는 대외무역에도 기여하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불교쪽에서 경제적으로 물자생산을 주도하고 고려경제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었는지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스님들이 경제활동을 직접 하였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기 사원은 대토지를 지배했습니다. 사원은 식리 활동이나 상업활동을 통해서도 많은 수입을 확보했지만 토지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안정적이었는데 사원은 농지를 경영하면서 상당한 재정 수입을 꾀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축적한 부는 상업, 식리 활동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사원의 토지는 여러 계통으로 마련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로부터 분급받는 것으로 국가는 태조 대 개경에 조영한 여러 사원, 이후 조영된 현화사, 흥왕사 등 중요 사원에 토지를 지급, 받은 토지는 경작자로부터 소출의 10분의 1을 거두어들이는 수조지였습니다.
사원은 개간이나 매입, 신자의 시납 등 스스로의 노력으로 토지를 확보하기도 했는데, 사적인 노력으로 확보한 토지는 원칙상 국가에 조세를 부담해야 했고 고려 후기 사원이 탈점과 겸병을 통해 토지를 확대하는 것이 보이며 몽골과의 전란 후 주인 없는 토지를 사패전으로 받아 개간 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또한 주변의 산림을 지배하는 수가 많았고 산림에서 땔나무를 확보, 숯, 재목, 솔방울 , 도토리, 과일, 버섯 등을 얻을수 있었으며 산림은 원래 주변의 모든 민인이 함께 사용할수 있어 사원이 배타적으로 이용한 것은 아니나 사원이 산곡 간에 세워진 경우 인접한 산림을 거의 독점적으로 활용했습니다.
또한 사원은 활발한 식리 활동을 전개, 식리 활동을 통한 수입은 사원의 재정 수입의 중요한 원천으로 식리 활동을 위해 쓰이는 자산은 여러 방식으로 마련되었습니다. 국가로부터 사여되는 곡물이나 포는 중요한 원천으로 국가과 국왕은 중요 기능을 수행하는 사원에 대해 일정한 재물을 사여해줌으로 식리 활동을 가능케 했습니다.
또한 상업활동을 했는데, 불교 교설은 상업활동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었고 고려 시기 사원과 상인이 밀착관계를 맺은 것도 사원이 상업에 활발하게 참여한 하나의 배경이 됩니다.
사원은 다량의 물품 구매자임과 동시에 판매자로 사원 건축 시의 자재, 불구 제작을 위한 재료, 불교 행사에 필요한 물품, 승려들의 용품 등의 일부를 구매에 의해 조달, 사원이 소유한 잉여물품과 가공품을 판매, 적극적으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상품판매에 참여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의 사원과 승려는 사실상의 대지주인 동시에 귀족적 신분으로 발전하여 많은 토지와 노비들을 소유해서 사원경제의 기반을 이룩했다고 합니다. 또한 사원은 술·소금·목축·파·마늘·꿀·기름 등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상행위, 수공업, 고리대 등을 통해 경제력을 증대시켰다고 합니다. 사원의 경우에는 왕실의 적극적 비호아래 이렇게 적극적인 상업 활동이 가능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