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용감한미어캣75
용감한미어캣7521.03.24

결핵이랑 폐결핵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병원에 갔는데, 결핵 정보에 대한 입간판이 보이던데, 일반적으로 말하는 결핵과 폐결핵이 다른 건가요?

다르면 어떻게 다른 건지, 각 증상과 치료방법 그리고 예방법이 따로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결핵은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대부분 환자의 침방울이나 비말을 흡인하여 감염되어 폐결핵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신체의 다른 장기에서도 결핵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폐 뿐만 아니라 흉막, 림프절, 척추, 뇌, 신장, 위장관 등에서도 감염이 가능하며 발병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즉 결핵은 결핵균 감염을 통칭하며, 결핵 중 가장 흔하게 감염이 일어나는 폐에서의 감염을 폐결핵이라 부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폐결핵은 결핵균(mycobactera)에 감염된 상태로 전염성, 급성 또는 만성질환이에요.

    결핵은 혈류나 림프관을 따라 몸의 어느 기관에서나 전파될 수 있는데 폐가 가장 잘 침범됩니다. 폐결핵은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도 중요 사망원인의 하나일 만큼 심각한 보건문제입니다.

    걱정이 되신다면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가까운 병원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준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결핵균은 폐를 주로 침범하지만, 기관지, 심장막, 흉막, 복막, 뇌수막, 부신, 비뇨기(신장, 요관), 골 및 관절, 림프절 등 인체의 곳곳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이를 통칭하여 폐외 결핵이라 합니다. 결핵이라 하면 상기의 모든 결핵질환을 포괄하여 말하는 것이겠으나, 대개의 경우가 폐결핵이므로 폐결핵을 그냥 결핵으로 약칭하여 부르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감염된 장기에 따른 약제의 종류와 치료기간에 있어 조금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폐결해과 마찬가지로 경구 결핵제를 6개월 복용하는 것이 기본이 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가족이나 동거인 등 밀접접촉자의 경우 감염위험이 높으므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고, BCG 예방접종을 통해서도 예방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