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2.10.28

철새가 브이자형을 이루고 나르는 이유는 뭘까요?

추운겨울 하늘을 우아하고

웅장하게 날으는 철새를

볼 수가 있습니다.

날아가는 모습을 브이자를

만들어 이동하는것을 보는데

무슨 이유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굉장한해파리140입니다.


    군집형태의 철새들은 장거리를 날아야하는데, 그 상황에서 제일 효율적인 비행형태가 V자입니다


    상승기류와 저항 감소등 다양한 이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뽀로동입니다.


    비행효율 때문입니다. 철새는 v자 형태로 날때 비행 효율이 좋아져 비행시 에너지를 덜 사용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앞의 새가 일으키는 날갯짓으로 뒤에 상승 기류가 생기기 때문에 뒤에 있는 새는 날갯짓을 덜해도 떨어지지 않고 공중에 떠있을 수 있게 됩니다.

    이 상승기류는 새의 날개 끝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앞의 새의 날개 끝자리에 위치하게 되고 그 배열이 이어지다 보면 점점 넓어져서 v자 형태가 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달리는치타82입니다.

    모든 철새가 v자 모양을 그리고 날아가는것은 아닙니다.

    기러기만 특별하게 그럽니다.

    그이유는 이렇게 이동하므로써 평균적으로 70% 이상 갈수 있는 거리가 늘어납니다.

    앞에 기러기가 공기를 밀어줌으로써 뒤에 오는 기러기들을 들어올려 주는 힘을 제공하게 됩니다.

    이탈하여도 자기가 느끼는 상태가 더욱 무겁게 느껴지므로 복귀하게 됩니다.

    제비나 동박새등은 떼로 사는것이 아니라 혼자 살아가는 동물이기때문에 날아가도 v자 모양을 그리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