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
23.01.10

하늘에서 우박이 내리는 과학적인 이유는?

하늘에서는 우박이 내리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 말고도 다른 나라에서도 우박이 내리더라고요.

우박이 내리는 과학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꾸준한독서가
    꾸준한독서가
    23.01.10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뇌우 구름에 강력한 상승 기류 또는 위로 이동하는 기류가 포함되어 있을 때 형성됩니다. 이러한 상승 기류는 빗방울을 대기의 결빙 상층부로 운반할 수 있습니다.

    빗방울이 결빙층에 들어가면 얼음으로 얼고 바람에 날립니다. 우박은 뇌우의 바람에 의해 위아래로 운반되면서 다른 얼음과 눈 입자와 충돌하여 더 커집니다.

    우박은 직경이 15센티미터(6인치) 이상이고 무게가 0.5킬로그램(1파운드)에 달하는 매우 큰 우박으로 자랄 수 있습니다. 우박이 클수록 우박을 지탱하는 뇌우의 상승 기류가 더 강해야 합니다. 따라서 어떤 면에서 우박의 크기는 우박을 생성한 뇌우의 강도에 대해 알려줄 수 있습니다.

    우박이 뇌우의 상승 기류가 우박을 지탱하기에 너무 무거워지면 땅에 떨어집니다. 뇌우가 강할수록 상승 기류가 강해지고 우박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더 커집니다.

    특히 충분히 큰 경우 하늘에서 떨어질 때 위험할 수 있으며 건물, 차량 및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속에는 빙정이라는 아주 작은 얼음조각이 떠다닙니다.

    이 빙정은 주면의 얼음입자 또는 물입자를 흡수하여 점차 커지게 되고, 무게를 주체할 수 없게 되면 낙하합니다.

    그대로 낙하했다면 눈 또는 비가 되겠지만 상승기류를 타고 다시 구름으로 들어가 다시 주변의 물입자와 얼음입자를 흡수하여 커지고 낙하하고 상승하기를 반복합니다.

    이윽고 상승기류에고 낙하할 수 밖에 없는 무게가 되면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는데요, 그것이 우박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10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내부에서 수증기가 상승 하강을

    반복하며 얼음을 형성하게되고 이것이 무거워지면 우박이되어 떨어지게됩니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얼마나 반복하냐에 따라서 우박의 크기가 결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