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꿀벌4590
꿀벌459023.12.08

중위소득이란건 어떻게 기준을 잡아야 하는건가요?

뉴스를 보다보면 중위소득 40프로 몇프로 이렇게 나오는데

중위소득의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기준을 잡아서 해석하는게 맞는지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위소득은 몇 인 가구냐에 따라, 기간이 언제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4년의 중위소득에 대해, 1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2,228,445원이며, 2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3,682,609원입니다.

    중위소득 40%는 해당 값에 40%를 곱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가장소득이 적은 사람부터 가장 높은 사람을 일렬로 세우고 중간에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잡습니다.

    • 그것을 중위소득으로 정하고 상위 몇프로 하위 몇프로를 하는 기준으로 정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위소득에 대해서는 정부가 매년마다 그 기준을 설정해서 배포를 하고 있는데,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 사진을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위소득은 주어진 인구 또는 가구의 소득을 기반으로 계산되는 지표입니다. 중위소득은 전체 소득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가운데 위치한 가구 또는 개인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소득 분포의 중심값으로서, 상위 50%와 하위 50%의 소득을 나누는 지점입니다.

    중위소득의 기준을 잡는 방법은 국가나 조사기관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국가 통계청이나 관련 기관에서 정기적으로 인구 또는 가구의 소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위소득을 산출합니다. 조사는 일정 기간 동안의 소득을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소득을 정렬하여 중위값을 계산합니다.

    중위소득의 기준은 국가의 경제 상황, 소득 분포의 특성, 정책 목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소득의 분포를 고려하여 상대적인 기준을 적용하며, 국가의 경제 및 사회적 상황에 따라 중위소득의 수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은 소득 분포와 불평등을 이해하고 경제 정책 수립에 활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총가구 중 소득순으로 순위를 매긴 다음, 정확히 가운데를 차지한 가구의 소득을 가리키며

    해당 소득을 기준으로 해당 퍼센트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 기준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홈페이지와 복지로홈페이지 등에서 확인 가능하고 언론이나 포털사이트에서도 잘 나옵니다. 우리나라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로 봤을 때 딱 중간인 소득을 얘기 합니다.

    계산 하는 방법은 통계청이 공표하는 가구당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을 다 합한 것)이 있는데, 여기의 중간값에 최근 가구의 소득 증가율의 평균과 가구 규모에 따라 차이는 소득수준도 반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