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관대한재칼263
관대한재칼26324.03.26

항암치료중에는 왜 기미잡티가 많이 생겨날까요?

나이
32
성별
여성

항암치료하면 피부가 까맣게변하며 기미잡티가 많이 생기는데왜그런걸까요? 전문적으로 자세하게 원리를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항암치료 중 피부 색소침착이 발생하는 이유는 항암제의 작용 기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많은 항암제들이 세포 내 DNA 합성을 방해하거나 DNA 손상을 일으켜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 특히 분열이 빠른 세포들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피부의 기저층에 있는 멜라닌 형성세포(멜라노사이트)는 분열이 빠른 세포로, 항암제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됩니다. 손상된 멜라노사이트는 멜라닌 색소를 과도하게 생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 색소침착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항암 치료로 인한 면역력 저하는 염증반응을 일으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항암제로 인한 활성산소의 증가 역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피부 색소침착은 주로 햇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더 잘 발생합니다. 자외선은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자극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피부 색소침착은 대개 항암 치료 후 서서히 호전되나, 완전히 사라지기까지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항암 치료 중에는 자외선 차단에 더욱 신경 쓰는 것이 색소침착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미백 화장품, 레이저 치료, 필링 등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항암 치료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는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벼운 스킨케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가 끝난 후 피부 재생과 색소침착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피부과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항암제로 사용되는 약물에 따라 반응이 다른데, 일부 항암제는 직접적으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할 수도 있고 또 다른 경우에 피부염을 유발하여 색소침착을 남길 수도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