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열섬효과란게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평소궁금했던건데 도시의 열섬효과가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혹시나 아시는 전문가님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시의 열섬 효과는 도시 지역이 주변 농경지나 자연 지역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도시는 인구 밀집, 차량 이동,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같은 열을 흡수하는 재료, 건물과 도로의 밀집 등으로 인해 높은 온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도시에서의 열섬 효과는 몇 가지 이유로 발생합니다. 첫째, 도시에서는 인구와 건물이 밀집되어 열을 생성하고 저장하기 쉽습니다. 이로 인해 도시의 온도가 올라갑니다. 둘째, 도시에서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적인 재료가 많이 사용되어 표면에서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데 기여합니다. 산림이나 자연 지역에서는 흙과 식물이 더 많아 표면에서 열을 흡수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열섬 효과는 도시의 기후를 변화시키고 온도 상승, 에너지 소비 증가, 대기 오염 증가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 계획에서는 열섬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고려하고, 녹지 공간의 보전, 건물의 에너지 효율 향상, 도로 재료의 선택 등을 포함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열섬 현상이란 도시의 기온이 주변 지역의 기온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해요. 도시와 주변지역의 온도를 연결하는 등온선을 그릴 경우, 그 모양이 마치 섬의 등고선과 비슷하게 나타난다고 해서 높은 기온이 나타나는 도시의 중심부를 '열섬'이라고 부르는 것이랍니다. 일반적으로 도시와 주변 지역 사이의 온도차는 보통 낮보다는 밤에, 여름보다는 겨울에 더 크게 나타나며 바람이 약할 때 가장 두드러집니다.
열섬 현상이 나타나는 가장 큰 이유는 공장의 매연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냉·난방기기의 사용에 의한 인공열의 발산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면적 확대로 인한 지표면의 보온 효과, 녹지 면적 축소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또 대도시에는 고층 건물과 각종 인공 시설물이 많은데, 이런 시설물들이 공기의 흐름을 막으면서 열을 가두어 도시 지역의 기온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도시의 열섬현상은 대기 오염을 심화시키고, 여름철 열대야 현상을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심각한 도시 문제 중 하나로 꼽히고 있어요.
그래서 최근에는 도시의 열기를 식히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도시에 공원을 조성하거나 건물의 옥상이나 벽면에 녹지를 조성하면, 도시의 기온을 낮춰 줄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휴식 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어 1석 2조의 효과를 볼 수 있겠죠? 청계천이나 한강 같은 강을 이용하거나 건물의 적절하게 배치하여 바람길을 만들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도시의 열과 오염 물질을 분산시켜줍니다. 이 외에도 우리가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열섬 현상 완화 방법으로는 냉·난방기의 사용을 줄이고, 자가용 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랍니다.
출처: 교육부 공식 블로그:티스토리 - 도시의 중심부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현상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시의 열섬효과는 도시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은 현상을 말합니다. 도시의 열섬효과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