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검소한노린재137
검소한노린재137

황금돼지. 백호 등 십이지간 앞에 왜 수식어가 붙나요?

매년 해가 바뀔 때 마다 돼지띠의 해, 개띠의 해등 십이지간이 달라지잖아요.

근데 왜 그냥 동물이 아니고 50년만에 돌아온 황금돼지의 해. 백호 의 해 등등

동물 앞에 수식어가 붙는데 왜 그런건가요? 실제로 조상님들도 이런 수식어를 썼을지 궁금합니다.

추측으론 출산장려?! 때문에 그런건지. 실존해서 이렇게 수식을 붙이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노란물수리152
    노란물수리152

     

    년도를 부를때 서력=2020년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경신년이다 라고 부르는 것도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나이를 몇살이다. 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나는 무슨띠야 라고 말하기도 하죠

    즉, 특정 해를 부를때 한문을 배열하여(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 년도를 부르는데 이 방식은 60년마다 다시 같은 글자가 돌아오므로 환갑이라는 말도 있게 되는 것입니다. 올해 태어난 아이는 경신년생인데 60년뒤에는 다시 경신년이 되죠

    천간은 10개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지지는 12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천간에는 오행 고유의 색이 있고 지지는 특정 동물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올해 경신년은 하얀+원숭이, 즉 하얀원숭이의 해라고 부르는 것으로 경신년이라고 부르는 것과 사실상 같죠

    황금돼지의 해는 기해년이었는데

    기=노랑, 해=돼지 이므로 노랑돼지이나

    노랑이 황금색이므로 황금돼지다.. 하고 불렀던 것입니다

    돼지꿈을 꾸면 복권을 산다는 말처럼 돼지는 재물을 상징하는데 금색인 노랑까지 있으니 길할것이다 라고 생각해서 부른 것이죠 매체들도 그런 뜻에서 쓴 것일 겁니다

    또 청룡이나 백마 같은 경우도 우리의 이미지 안에 있던 강하고 기센 이미지이므로 충분히 언급할 수 있다고 봅니다

    올해인 하얀원숭이는 우리가 원래 사용하던 이미지나 인식이 없으므로 언급하지 않는 것이죠

    결론

    어떤 색+짐승의 해 라는 말은 매년 쓸 수 있으나

    사회적인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매스컴에서 이렇게 저렇게 언급하기도 한다

    추신

    작성자님의 출생년도를 알아보시고

    띠에다가 천간의 오행 색만 더하시면 무슨 동물의 해인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갑인년 = 갑: 청색 인:호랑이

    파란 호랑이 입니다

    갑을 : 청색

    병졍 : 붉은색

    무기: 노랑

    경신 : 하양

    임계 : 검은색

  • 띠는 12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띠는 12지지에 의해 결정된다.)

     

    자  -  쥐띠
    축  -  소띠
    인  -  범띠
    묘  -  토끼띠
    진  -  용띠
    사 -  뱀띠
    오 -  말띠
    미 -  양띠
    신 -  원숭이띠
    유 -  닭띠
    술 -  개띠
    해 -  돼지띠

     

    그리고 년도마다 색깔이 정해져 있다.

    색을 정하는 것은 천간이다.

     

    띠와 합쳐서 천간지지를 60갑자라고 한다.

    조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흰쥐(1960), 흰소(1961), 흑범(1962), 흑토끼(1963), 청용(1964), 청사(1965), 적마(1966), 적양(1967), 황원숭이(1968), 황닭(1969), 흰개(1970), 흰돼지(1971), 흑쥐(1972), 흑소(1973), 청범(1974), 청토끼(1975), 적용(1976), 적사(1977), 황마(1978), 황양(1979), 흰원숭이(1980), 흰닭(1981), 흑개(1982), 흑돼지(1983), 청쥐(1984), 청소(1985), 적범(1986), 적토끼(1987), 황용(1988), 황사(1989), 백마(1990), 흰양(1991), 흑원숭이(1992), 흙닭(1993), 청개(1994), 청돼지(1995), 적쥐(1996), 적소(1997), 황범(1998), 황토끼(1999), 백용(2000), 백사(2001), 흑마(2002), 흑양(2003), 청원숭이(2004), 청닭(2005), 적개(2006), 적돼지(2007), 황쥐(2008), 황소(2009), 흰범(2010), 흰토끼(2011), 흑용(2012), 흑사(2013), 청마(2014), 청양(2015), 적원숭이(2016), 적닭(2017), 황개(2018), 황돼지(2019), 흰쥐(2020)

    그런데 우리가 특별하다고 하는 띠는 서기년도의 색과 일치하는 천간지지띠이다.

    여기서 색은 천간에 의해 결정된다.

     

    갑,을 - 청색
    병,정 - 붉은색
    무,기 - 황색
    경,신 - 백색
    임,계 - 검정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