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레이 치료 과정 중 크랙 생길 가능성 있나요
어금니 씹는면이 깨져서 인레이 치료를 받았습니다. 인레이 부착하고 높이 다듬는걸 치위생사가 하더라구요; 그런데 너무 아파서 의사선생님이 나머지는 해주셨어요. 집에 와서 해당 치아 보니까 옆면에 세로로 금 같은게 진하게 있더라구요. 치과에서 말을 안해줘서 다시 물어보니 중지우식? 이라고 했습니다. 통증 시림도 없어서 그런가보다 했는데
인레이 씌운 뒤 2주만에 깨져서 (다른치과에서 진료받음) 치료한 치과 다시 갔더니 알고보니 그 선이 충치가 아니라 크랙이러고 하더라구요. 인레이 다시 떼어내고 보니깐 씹는 면 까지 금이 이어져있습니다.
인레이 깨지기 전 까지는 통증이 없어서 당연히 인레이 때문에 아픈줄 알았는데 크랙 때문이라고 지금 신경치료 중입니다.
금이 꽤 진하고 제가 봐도 보일정도인데 이걸 치과에서 발견 못했던게 당황스럽고, 인레이 높이 다듬을때 너무 아팠었는데 이때 크랙이 갈 가능성과 이걸 치위생사가 해도 되는건가요?
추가로 신경치료 2차 받고 일주일 정도 지났는데옆치아 건들면 아픈데 원래 그런건지도 궁금합니다
인레이 높이 다듬는 과정에서 크랙이 생길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하셔야 하며 위생사가 해야하는 업무는아닙니다. 신경치료 후에는 일시적인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레이 치료 중 크랙이 간다기보다는 원래 치아에 미세한 크랙이 있었으나 그게 인레이 접착 후 심해졌을 가능성은 있습니다. 원래 인레이가 크랙을 유발하는 확률도 어느정도 있습니다.
신경치료 하는 치아가 아니고 그 옆 치아가 아픈 것은 신경치료 받는 치아와는 별개의 문제로 여겨집니다. 굳이 손으로 치거나, 자극을 주는 행위는 삼가시고 치과에서 옆 치아에 대해서도 검진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김철진입니다. 인레이 치료를 받는 과정중에 생긴 크랙은 아닌거 같고 크랙은 이미 있엇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처음 치과에서 그부분을 설명을 못한건 치과의 실수가 맞는거 같습니다.
인레이 치료하는 도중에 트랙이 생길 가능성이 높지 않습니다. 이미 생겼던 크지 않아서 인내이 치료를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크랙이 있는 경우에는 치아를 씌워주는 크라운 치료를 하게 되는데 금이 신경까지 진행이 되었다면 신경 치료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신경 치료를 했을 경우 통증이 심하다면 인접치아에까지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통증은 대부분 신경 치료가 마무리되고 나면 괜찮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