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를 할 때 혀도 꼭 닦아야 하나요?
양치를 하고 난 후 마무리 때 혀를 닦는데 혀를 닦을 때마다 계속 헛구역질이 나서 힘들어요ㅠㅠ 양치를 할 때 꼭 혀를 닦아야 하는 걸까요?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 구토반사가 심한 분은 혀를 닦을 때 구역질이 납니다. 혀 앞쪽만 닦고 깊게 안쪽으로 넣지 않으면 - 구토반사가 덜 일어납니다. 치솔질 할 때 혀도 같이 닦는 것이 좋으며, 가볍게 한두번 문질러 주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 양치를 하고 나서 혀도 닦아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혀 부위에도 세균 및 곰팡이 등이 자랄 수 있습니다. 또한 구취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므로 혀도 반드시 관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칫솔로 관리가 힘들다면 혀클리너 등을 구비해서 한 번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사용시 너무 뒤쪽까지 닦을 때는 지금과 같이 구역감이 날 수 있으니 너무 깊게 넣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 혀를 닦는것도 중요합니다. 혀를 닦으실때 너무 깊게 닦지는 마시고, 천천히 혀 중간까지만 닦아주시면됩니다. 그것도 어려우시면 혀 클리너를 사용하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 구취가 나는 대표적인 부위가 - 혀와 치은연하(쉽게 말하면 치아와 잇몸경계 부위)인 만큼 치아를 아무리 잘 닦더라도 혀를 청소하지 않는다면 구취가 날 확률이 커집니다.따라서 양치하실때 치아도 잘 닦아야 합니다만, 혀도 잘 청소 해주셔야합니다. - 혀에는 맛을 느끼게하는 부분인 유두가 있는데 유두의 형태가 좁고 긴 형태로 빼곡히 혀를 덮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 이러한 유두 사이사이에 음식물이나 치태가 끼었을때 잘 빠지지도 않고 산소도 잘 들어가지 않아 부패(부패하여 구취의 원인인 황화합물을 생성합니다.)하게 되어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구취를 일으키는 요소가 됩니다. - 따라서 이러한 유두사이사이의 이물질을 빼기 위해서 혀클리너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 안타갑게도 칫솔로는 유두사이사이 이물질을 빼기가 쉽지 않으므로 혀클리너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 양치질을 할 때 혀를 닦아주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 혀를 닦다가 구역질이 난다면 칫솔을 너무 깊게 넣지 말고 헛구역질이 나오지 않을 정도까지만 넣어서 닦아 보세요. 
-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 혀도 닦습니다. - 혀에서 목으로 연결되어 있는 설인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수축되고, 이물질이 들어가 질식을 막기위해 혀가 말리면서 구역질이 날수 있습니다. -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