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10.14

폴스트리크 현상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폴스트리크 현상은 아주 희귀한 기상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신기하게 구름 가운데가 동그라미 모양으로 뚫려져 있는 모습입니다.

이런 기상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민들이 YTN에 제보한 사진과 영상을 보면, 파 란 하늘에 새하얀 구름이 펼쳐졌고, 그 가운데 구 멍이 뻥 뚫렸습니다. 마치 하늘 위로 구멍이 난 듯 한 독특한 모습인데요. 오늘(12일) 오전 11시부 터 춘천지역 상공에서 2시간 넘게 관측됐습니다.


    시민들은 하늘에 구멍이 뚫린 것 같다며, 구멍 안 에 하늘을 날고 있는 새의 모습을 한 구름도 보인 다며 멋지고 신기한 일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기상청은 춘천 상공에서 관측된 구름은 홀펀치 구

    름 또는 폴스트리크 현상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얇은 구름층 사이에 얼음조각이 형성돼 무게

    를 이기지 못하고 하강하면서 주변의 수증기를 흡 수해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라고 설명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카메라의 렌즈는 굴절 작용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왜곡된 렌즈 구조나 굴절률의 변화로 인해 폴스트리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와이드 각도 렌즈나 렌즈의 왜곡 보정이 부족한 경우에 더욱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셔터 속도가 빠른 상황에서는 폴스트리크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셔터가 빠르게 열리고 닫히면서 이미지가 선명하게 잡히지 않고 왜곡될 수 있습니다. 특히 주파수가 높은 광원 아래에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폴스트리크 현상은 주변 환경의 광원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변에 있는 형광등이나 LED 조명과 같은 광원이 주파수를 가지고 깜빡이는 경우, 이러한 주파수와 셔터 속도의 조합으로 인해 폴스트리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뚫린 듯한 구름 모양의 기상현상을 폴스트리크 현상이라고 합니다. 폴스트리크 현상은 구름 내 수분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며 일반적으로 빙점이 형성되는데요. 폴스트리크현상은 수분 온도가 영하로 내려간 뒤에도 빙점 형성 입자가 얼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어떠한 자극으로 인해 구름 내 수분이 얼음조각으로 변해 하강하면서 주변 수증기를 흡수함에 따라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현상이 발생될때 구름속 작은 물방울이 빛을 모아 굴절시키면서 무지게도 같이 관찰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폴스트리크 현상은 구름 내 수분 온도가 영하로 내려간 뒤에도 빙점 형성 입자가 얼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이때, 어떠한 자극으로 인해 구름 내 수분이 얼음조각으로 변해 하강하면서 주변 수증기를 흡수함에 따라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폴스트리크 현상은 구름이 영하로 내려가지만 빙점 형성 입자가 얼지 않은 상태에서, 자극으로 인해 구름 내 수분이 얼음조각으로 변해 하강하면서 주변 수증기를 흡수함에 따라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현상은 구름 내 수분 온도가 빙점 아래로 내려갔음에도 빙정 형성 입자가 없어 아직 얼지 않았을 때 관찰할 수 있습니다.

    구름층 사이에 형성된 얇은 얼음 조각이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하강하면서 주위 수증기를 흡수해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