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맥도날드 같은 경우 제품은 판매 하면 몇% 로열티로 나가나요

맥도날드 같은 외국계 기업 이 우리나라에서 물건을 판매 할 때 하나 판매했을때 로열티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몇% 정도 로열티로 나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맥도날드와 같은 외국계 기업들은 한국에서 상당한 규모의 로열티를 본사에 지급하고 있습니다. 한국맥도날드의 경우, 최근 공개된 재무 자료에 따르면 매출액의 약 5% 수준을 로열티로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2020년에는 501억원, 2021년에는 543억원의 로열티를 미국 본사에 지급했습니다. 이는 2021년 기준으로 전체 매출액 8679억원의 약 6.3%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이러한 로열티 지급은 맥도날드의 수익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맥도날드는 최근 몇 년간 매출은 증가했지만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278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급한 로열티 금액의 절반 정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맥도날드의 자본잠식 위기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최근 매각 추진의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

    로열티 지급은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요소이지만, 동시에 현지 법인의 수익성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맥도날드의 사례는 글로벌 기업의 한국 시장 진출 전략과 수익 구조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향후 한국맥도날드의 매각 과정에서도 로열티 구조가 중요한 협상 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맥도날드와 같은 외국계 프랜차이즈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제품을 판매할 때, 일반적으로 매출의 일정 비율을 로열티로 본사에 지불합니다. 이 로열티 비율은 계약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매출의 4%에서 6% 정도가 로열티로 지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로열티는 브랜드 사용권, 운영 시스템, 마케팅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본사에 지급됩니다.

    프랜차이즈 운영에서는 로열티 외에도 광고비나 교육비 같은 추가적인 비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비용들은 본사의 지원을 받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매출의 일정 비율을 기반으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로열티와 추가 비용들은 브랜드 유지와 운영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맥도날드와 같은 글로벌 프랜차이즈는 매출의 일정 부분을 로열티로 본사에 지불함으로써, 전 세계에서 동일한 품질과 서비스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