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어린홍여새73
어린홍여새7321.09.16

빈혈에 효과가 좋은 음식이나 영양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앉아 있을 때도 어지러울 정도로 빈혈이 심합니다.

일어나서 움직이면 머리가 띵해지면서 어지럽구요..

철분제는 속에서 안받아서 대체 할 수 있는 영양제나 음식 좀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조금만 움직여도 힘든건 빈혈 영향이 있는건가요?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빈혈이 있다면 철분제로 보충해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여의치 않다면 철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선지, 적색 고기(지방 말고 근육 부분), 콩과 팥, 어두운 녹색의 야채들, 건과류 등이 있습니다.

    빈혈이 있다면 조금만 움직여도 힘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빈혈환자를 위한 식사 가이드

    • 단백질, 철분이 많이 든 식품을 드십시오.
    (달걀, 육류, 생선, 우유, 두부)
    • 소의 간, 녹황색 채소, 미역, 완두콩
    • 신선한 채소, 과일을 충분히 드십시오.
    • 식사 도중이나 직후에 차 또는 커피, 청량음료를 드시지 마십시오.

    철분제 복용 가이드 (철분제 제대로 먹기)

    • 철결핍성 빈혈은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의 섭취만으로는 절대 치료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철분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철분제는 식전에 비타민 C(예: 과일주스)와 함께 복용하면 흡수가 더 잘 됩니다.
    (속이 불편해서 식전에 먹기 부담스러우시면 식후에 바로 드시도록 합니다.)
    - 식후에 드셔도 불편하시면 알약을 물약으로 바꿔서 복용합니다.
    • 우유, 커피, 감과 같은 음식을 철분제와 함께 먹으면 흡수를 방해합니다.
    - 우유 자체는 철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철분제와 우유를 함께 먹을 경우 우유가 철분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 우유는 철분제와 2시간 이상 시간을 두고서 마시도록 합니다.
    • 철분제는 최소한 6개월간 복용해야 합니다.
    - 6개월간 복용한 후에도 ‘저장철’ 수치가 정상으로 되지 않았다면 추가로 더 복용해야 합니다.
    • 철분제를 복용하시면 대변이 시커멓게 변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정상적인 변화이므로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17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빈혈은 보통 정상체중 이하의 마른 체형에 많고 머리가 핑도는 듯한 느낌 어지러움 무기력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오심 구토 등도 드물게 동반될 수 있습니다. 손톱 밑 피부가 주위 사람보다 하얗거나 눌렀을때 피가 돌아오는 속도가 늦다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기덕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지럼증은 빈혈 외에도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빈혈이 맞는지 먼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빈혈은 철분제가 중요한데, 복용이 어렵다면,

    쥬스나 비타민C와 드시면 조금 덜 힘들고 흡수율도 높아지구요.

    빈혈이 심하면 철분제에서 쇠 맛이 심하게 나서 더 힘들기도 합니다.

    음식중에는 간이나 선지, 순대. 그리고 빨간 고기(소고기, 돼지고기)가

    철분이 많습니다. 그런데, 야채랑 드시면 흡수가 잘 안됩니다.

    녹차랑 마셔도 흡수가 잘 안되요.

    카페인이나 야채는 고기를 먹을 때는 시간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빈혈이 지속된다면 다른 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남자는 술, 대장문제 등이 원인인 경우가 많구요,

    여성분은 자궁 근종이 흔한 원인입니다. 그 외에 갑상선 문제로도 빈혈이 오기도 합니다.

    철분제 보충시에는 다른 미네랄도 같이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철결핍빈혈은 초래한 원인 질환을 정확히 밝혀내고 이를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빈혈의 치료법에는 먹는 철분제, 정맥을 통한 철분 주사제, 수혈, 식이 요법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식이 요법 단독으로 철 결핍성 빈혈이 교정되지 않으므로 식이 요법과 함께 약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철 결핍은 대부분 경구용 철분제제로 충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여러 제형의 철분제제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제제가 흡수되며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성인은 빈혈이 교정된 후에도 6~12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철분제제를 투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혈색소 수치를 증가시키는 것뿐 아니라 저장 철 부족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철분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는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이외에 철분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구 철분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철분 결핍이 지속되면, 철분제제의 정맥 내 투여 등의 비경구적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경구용 철분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할 수 없는 경우, 경구 복용을 잘 지키지 않을 경우, 위장관 흡수의 장애가 있는 경우, 위장관 출혈, 월경 과다 혹은 혈액 투석 등으로 철분 소실이 증가되어 많은 양의 철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정맥 내로 철분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많은 양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약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에 걸쳐 천천히 주입합니다. 보다 많은 용량은 이보다 긴 시간이 소요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빈혈의 원인 :

    (1) 철 결핍성 출혈: 적혈구가 직접적으로 몸에서 빠져 나가는 경우

    (2) 장 출혈: 위, 소장, 대장의 질환에 의해

    (3) 위장관 질환: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치질 같은 양성질환

    빈혈의 증상 :

    (1) 몸 안에 산소공급이 저하되면서 만성적인 저산소증

    (2) 운동시 호흡곤란, 어지럼증, 두통, 심계항진증

    (3) 피곤함, 수면장애, 성욕감퇴, 집중력감퇴

    빈혈의 치료방법 :

    (1) 경구 철분제와 비타민 C 200mg 이상과 함께 복용

    (2) 철분 흡수율이 높은 육류를 충분히 섭취

    (3) 충분한 휴식과 수분을 취하고 활동량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