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월 아기 의사표현을 지금 알려줘야하나요
18개월 아기 아빠 입니다. 애기가 요즘 부쩍 자기 의사 표현이 많아 진것같아요
특히나 싫다라는 표현을 꽤나 쓰는 듯합니다.
무슨말인지나 알고 그러는건지... 알아 먹는거 같은거 같기도하고요...
그래서 요즘 의사표현 관련해서 정보를 찾아보고있는데
지금부터 교육을 시작하는게 맞는가 싶어서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말이 빨라 감정을 말하고 혹은 말을 따라하는 시기가 오면 부모가 하는 언어적 표현 혹은 영상메체를통한 언어도 곧잘 따라하게 됩니다.
이때부터 부모가 개입하셔서 교육을 해주는편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주다 안다 싫다 좋다 라는감정을 몸소 가르쳐 주는게 좋아요
그리고 아이가 언어적 반응을하면 부모도 힘들지만 같이 맞장구씩 반응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평소에 긍정적인 말과 표현을 많이 사용하시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표현을 하는 아이로 자라게 됩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자신의 좋은 감정 뿐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많이 시켜주시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에게 "엄마가 빨리 장난감을 주지 않아 화가 났구나." 등의 표현을 하며 아이에게 속상한 마음, 화가 나는 마음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아이에게 이야기 해 주면 좋습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며 특히 부정적인 마음의 상태를 표현하지 못해 떼를 쓰거나 울거나 삐지는 등의 표현을 하게 됩니다.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는 아이가 될 수 있도록 부모님이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감정 표현을 하시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말을 자주 시켜 주셔야 아이도 부모의 말을 듣고 모방하는 심리가 크기 때문에 말을 빨리 배울 수 있답니다.
말을 하기 시작하면, 아이가 원하는 것을 정확히 말로 표현할 것입니다
싫어 라는 표현도 아이가 아직은 말을 정확히 하지 못하므로, 뭐든지 싫어라고 표현을 하는 것 같아요.
올바른 의사표현법을 지도하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8개월 정도에 언어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답니다
그래서 아이가 자신의 의사 표현을 싫다 라고 자주 표현하는 것 같아요.
아이가 하고 싶은 말을 부모가 대신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싫었구나, 먹기 싫었구나, 이 옷을 입기 싫어구나 하고 대신 말을 해주면, 아이도 올바른 표현법을 익히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감정에 표현은 다양하게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교육적으로 알리지 않더라도 이럴떈 이런감정이다 이럴땐 즐거움 이럴땐 슬플수있다는 등 표정을 다채롭게 지으면서
아이와 놀이처럼 해주셔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의 아아들은 자기 주장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싫음의 의사표현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 18개월이면 다른 사람의 말을 충분히 인지하고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알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감정을 표현한다는 것은 아이가 좋고 싫음을 이해하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그럼으로 감정표현에 대하여 제지하기 보다는 감정표현을 하였을 때 상대방이 느끼는 감정을
반복적으로 알려주고 감정표현 방식을 짜증이 아닌 말로써 표현할 수 있음을 알려주신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18개월이면 말도 어느정도 할꺼에요
그러다 보니 지금부터는 의사표현을
가르치셔도 될 시기에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18개월 이면 자아가 확립되면서 자기주장이 확고해 지는 시기 입니다.
18개월 정도면 아이가 어느 정도 자신의 의사를 말로 표현하기는 미숙하지만 그래도 아니, 응 이라는 간단한 표현을 할 줄 알고 부모님의 언어를 알아듣기 때문에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 조금씩 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부터 교육을 시키셔도 괜찮을거 같아요.
언어는 아이가 외부의 의사소통을 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수단이예요.
사실 오늘날의 아이들 환경은 옛날 가정보다는 의사소통이나 의사표현의 기회가 적은 환경이죠.
가족의 숫자가 우선은 적고 친척과 이웃과의 교류도 그렇게 많지는 않아요.
더구나 요즈음의 엄마들은 워킹맘이 많아서 아이가 의사소통의 자극을 받을 기회는 오히려 적어요.
따라서 의사소통이 적게 되고 이것은 아이를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아이가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많아져서 언어를 발달시킬 기회는 많아졌지만
그와 동시에 의사소통의 기회와 이웃과의 교류가 악화될 위험성 또한 많은 것이
요즈음의 가정환경이예요. 아이의 지적능력이 유아 초기에 많은 부분이 이루어지면서
조기교육의 열풍이 불고 있는데 이러한 조기교육은 언어발달의 기초가 없이는
사고력, 논리력, 기억력의 발달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지능발달도 불가능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18개월이라면 어느정도 의사표현이 되며
좋아요와 싫어요 이런 의사표현에 대하여
교육하셔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