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날아라뵹알
날아라뵹알22.08.29

비행기가 지나가고나서 하늘에 흰색 줄같은게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비행기가 지나가고 나서 하늘에 흰색 줄? 같은게 생기는데 어떤 원리로 생기는건지 궁금합니다. 온도 차이로 의해 생기는건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29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운행하는 높은 고도의 대기는 온도가 매우 낮습니다. 약 영하 50도에 달해 포화수증기압이 매우 낮은 상태입니다. 하여 비행기가 내품는 배기가스와 수증기에 의해 포화되어 구름이 생깁니다. 이것을 비행운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제트구름은 비행기의 제트엔진을 통과한 공기가 대기 중의 수증기와 결합되면서 곧바로 얼어붙어 구름이 되는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비행기 주변이 뿌옇게 변하면서 구름처럼 생기는 것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것이 생기는 이유는 배기가스와 하늘의 온도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에 입김을 불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입안의 온도와 바깥의 온도의 차이 때문인데,

    하늘의 온도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급격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입김(구름운)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 뒤에 흰색 줄은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비행기 엔진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데 매우 낮은 온도인 높은 고도이기에 주변 물 분자와 섞여서 구름이 됩니다.

    그래서 비행기가 지나갈 때마다 비행운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운은 하늘에 차가운 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만들어 집니다.

    일반 여객기에도 비행기 엔진이 있기 때문에 비행운이 만들어집니다.

    찬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비행기 엔진의 뜨거운 열기와 마주합니다. 그리고 엔진을 통과하며 찬공기의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이 배출되면서 구름과 같이 만들어 지는데 이를 비행운이라고합니다.

    또한 비행운은 습도가 높은 날에 잘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