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당찬칠면조87
당찬칠면조8724.04.13

위내시경 중 위찢어짐 보험 청구 급성 위궤양

나이
7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혐심증약(혈전제). 류마티스관절염 약(면역억제제)
기저질환
협심증.류마티스관절염

건강검진 위내시경 중 환자가 트림했다고 위가 찢어질 수 있나요?혈전제는 다음날부터 바로 복용했고 일주일정도 처방해주신 위에 관련된 약을 복용했는데요. (최근 보험 청구 급성위궤양 코드 나와 넘 걱정됩니다)

ㄱㅎ대병원에서 원래 진료 받던 의사쌤이 미국으로 교환 교수가셔서 어쩔수 없이 다른 분 한테 위내시경 작년 9월 받았는데요. (엄마 항상 매년 위내시경 이상없었음)

엄마가 협심증으로 혈전제를 드시는 상황이라 항상 4일 중단 후 5일째 내시경을 받았는데

의사 쌤은 자신이 조심히 잘 할테니 당일만 혈전제 중단하라고 해서 지시대로 했는데 그날 내시경하다가 엄마가 트림해서 위가 찢어졌고 지혈은 잘 되었으나(의무기록지지혈밴드 사용) 위의 밖에서 뭔가 누르는게 있는 것 같다고 해서 ct찍어보자고 해서 찍고 괜찮다 해서 일단 안심했는데요.

여러가지로 좀 의사 쌤에 대한 믿음이 없어서 앞으로 다른 병원에서 진료보려고 의뢰서 받아 보니 의뢰서(stomach antrum2.5cm llipoma)라고 되어 있어요.

그리고 최근에 보험 청구하고 보니 급성위궤양 코드가 나와 있고 아는 지인이 의사이신데 건강검진으로 위내시경해서 위점막 찢어지는 경우는 잘 흔하지 않다고 들어서 넘 걱정돼요

그리고 우연인지 위 찢어지고 바로 다음 심장내과진료에서 바로 케이캡정 50mg 추가 되었어요. 심장내과에서 위내시경 자료 보고 지금 처방해준 걸까요? 캐이캡정 위보호제로 먹는게 좋다고 처방나왔다는데 10년 동안 케이캡정처방 없다가 갑자기 심장내과 약이 독하니 공교롭게 위찢어지고 바로 처방 나오는게 좀 뭔가 찝찝해요.

원래 협심증으로

로수로드정10mg

프리토정40mg

디스그렌캅셀 300mg

바스티난엠알서방정 13년 복용 했는데

갑자기 케이캡정 50mg 추가 되었어요

의사쌤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심장내과에서 위내시경 없이 캐이캡정 처방 가능한가요?위장약에도 종류가 많다던데 캐이캡정은 오래 장기간 먹어도 되는 약인가요?(이제 계속복용하라고 하셔서)

2)조직검사도 아니고 건강검진으로 위내시경중에 위찢어질 수 있나요? 의사쌤이 잘못하시고 환자가 트림 했다는 핑계를 대는 합리적 의심을 하게 하는 부분들이 좀 있어서요.->이럴때 병원 cctv를 볼 수 있나요?(의료사고 같은것이 아니길 간절히 바래요)

3)위찢어진 부분은 그 다음날 바로 혈전제 복용하고 일주일정도 소화기내과에서 처방해준 약 먹고 일주일 한번 류마티스관절염 으로 면역억제제(유한메토트렉세이트정2.5mg)먹고 있는데 찢어진 부분 잘 자연치유 될까요? 특별한 증상은 없는데 그전에는 어디 긁혀도 금방 낫고 상처도 남지 안았는데 엄마가 면역억제제 먹고 다치면 바로 흉터로 남아 솔직히 너무 걱정됩니다

답변해주신 의사쌤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1) 처방이 가능합니다. 장기간 드셔도 됩니다.

    2) 말로리 바이스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위식도접합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위점막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흔한 편은 아닙니다. 환자분이 검사를 할 때 트림이나 구역질을 하면서 합병증이 발생을 합니다.

    3) 지혈을 이미 하였기 때문에 크게 문제 없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1. 내과가 아니더라도 진료과에서 필요시 케이캡정 처방은 가능합니다.

    2. 많이 놀라셨을 텐데요. 위내시경은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지만 출혈이나 천공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 위험성이 있습니다. 특히 고령이나 환자의 협조가 안될 경우 발생 위험성은 증가하게 되며 이유 없이 공기 주입만으로도 점막이 찢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상처의 정도는 알 수 없지만 천공은 아니였다니 다행이고 위장약을 복용 시 잘 회복 됩니다.

    3. 류마티스 약물 복용과 큰 연관성은 없겠으나 혈전제 복용시기는 상의 후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위내시경 중 환자의 트림으로 인해 위점막이 찢어지는 일은 매우 드뭅니다. 대개는 의료진의 부주의나 과도한 조작이 원인이 되곤 하죠. 엄마의 경우 협심증으로 혈전제를 드시는 상황이라 더욱 주의가 필요했을 것 같아요.

    1. 심장내과에서 위내시경 결과를 보고 케이캡을 처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케이캡은 장기 복용이 가능한 위장약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처방되어야 해요. 향후 약제 조정에 대해 심장내과 전문의와 상의해 보시는 게 좋겠어요.

    2. 건강검진 위내시경 중 위점막 손상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환자 탓으로 돌리는 듯한 의사의 태도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당연해 보여요. 병원 CCTV 열람은 쉽지 않고 제한적이에요.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진료기록 사본 발급을 요청하고, 필요하다면 법적 절차를 고려해볼 수 있겠네요.

    3. 위점막 손상 후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뤄졌다면 합병증 없이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요. 다만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복용으로 인해 상처 회복이 다소 지연될 수 있겠네요. 위 증상이 나타나거나 불편감이 있다면 반드시 내과 진료를 받으시고, 향후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진을 통해 경과를 관찰하시는 게 좋겠어요.

    의료사고 여부와 무관하게 현재로선 엄마의 건강 회복에 집중하시는 게 우선이에요. 위내시경 후 관리에 만전을 기하시고, 주치의와 긴밀히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회복을 기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