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23.02.24

최근에 까치가 줄고 까마귀는 늘어났나요? 이유는?

전에는 까치도 자주 봤었는데

요즘은 까치가 예전보다 더물게 보여요

까마귀는 더 는것 같고요

제가 잘못본건가요?

아님 사실인가요?

사실이라면 그이유는 무엇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까치와 까마귀는 서로 사촌지간이기 때문에 서식지나 생태계가 비슷하고 서로 잘 부딪힙니다.

    그래서 어느한쪽이 많아지고 적어지기보다는 외부요인에의해 함께많아지거나 함께적어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까치와 까마귀는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종으로 구분됩니다.

    한국에서는 까치와 까마귀 모두 법적 보호를 받는 조류 중 하나입니다. 까치와 까마귀는 서식 환경에 따라 살아남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서식 분포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까치는 주로 개방된 평야나 밭 등에서 서식하고, 먹이로는 곤충, 벌레, 과일, 씨앗 등을 먹습니다. 반면 까마귀는 주로 숲이나 산악지대에서 서식하며, 먹이로는 곤충, 벌레, 작은 동물, 씨앗 등을 먹습니다.

    최근 들어 까치와 까마귀의 개체 수 변화에 대한 연구나 조사 결과는 없지만, 서식 환경의 변화나 인간과의 교감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까치의 서식 수가 감소하고 까마귀의 서식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까치와 까마귀는 인간의 서식 지역에 적응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고 있는 대표적인 조류여서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까치와 까마귀는 비슷한 모습을 가진 새이지만, 서로 다른 종입니다. 이 두 새의 분포와 물량은 지역별, 계절별, 그리고 시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까치의 개체 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까치는 도시지역에서도 적응력이 높아서 전국적으로 서식하고 있으나, 환경문제나 인간과의 충돌 등으로 서식지의 파괴 및 이동, 인공물 등으로 인해 식생이나 먹이가 부족해지는 등 다양한 위협 요인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까마귀는 까치에 비해 전국적으로 분포가 광범위하지 않지만, 보호정책 및 서식지 복원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까치 개체 수가 감소하는 반면 까마귀의 개체 수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별, 계절별, 시간대별로 상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상황은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조사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서식지가 바꼈을 뿐입니다. 종 개체수가 크게 변한건 아닙니다. 그리고 두 개체가 경쟁하면서 개체수가 줄어들거나 늘어날거나 하는 경우는 없습ㄴ디ㅏ. 이 정도에 영향을 받으면 약육강식의 관계가 되야 하는데 그런 관계가 아니고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까마귀가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겨울 철새인 떼까마귀 때문입니다. 떼까마귀는 겨울을 나기 위해 시베리아에서 한국으로 남하하는데요. 이들이 있어서 증가한 것으로 보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까치 개체수는 모르겠으나,

    까마귀 개체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심지에서 그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도심지에는 천적이 없고 먹이가 풍부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