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4.08

이앙법은 언제 전파됐고 언제 정착 확산됐나요?

모판에서 벼를 어느정도 키운 후에 논에 옮겨 심어 생산성 증대에 기여한 이앙법이 우리나라에 전파된 시기와 정착하여 확산된 시기는 언제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5세기에 편찬된 『농사직설』에 그 기술

    체계가 잘 정리된 이앙법은 16세기를 거치면서 경상도 전역과 전라도·충청도의 일부

    선진 지역까지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16세기 초반 경상도의 상당 지역과

    영동 지역을 비롯한 강원도 지역에서는

    이앙법을 채택하고 있었다.


  • 이앙법은 고려 말부터 우리나라에 소개됐습니다. 농업국가였던 조선은 이앙법의 효용을 알고 있었지만 거의 조선 왕조 내내 이를 금지하고 직파법을 고수했습니다. 17세기 이후에야 생산력과 인구가 줄어들자 농민들이 자발적으로 이앙법을 농사에 도입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앙법은 고려 시대 후기에 남부지방 일부에서 보급되기 소작하여, 조선 전기에는 삼남지역에, 그리고 조선 후기엔 전국적으로 확산됩니다.



    따라서 고려 후기에 이앙법이 보급되었다고 하면 맞는 설명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앙법은 중국의 명나라 시기에 개발된 방법으로, 모판에서 재배하던 벼를 일정기간 키운 후 논으로 옮겨 심는 방법입니다.

    이앙법은 16세기 중국에서 개발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이미 전파되어 있었습니다. 고종 19년(1882년)에 간행된 "진상목록"에는 "이앙법"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이후에는 조선시대 말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이앙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앙법이 대규모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광복 이후인 1950년대 이후입니다. 이 시기에는 식량 부족 문제와 농지 부족 문제로 인해 농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이앙법이 널리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기계화와 인공 비료의 도입으로 인해 이앙법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앙법은 조선시대에 이미 전파되어 있었지만 대규모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광복 이후인 1950년대부터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앙법이란 벼농사에서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재배하는 방법으로 중국의 한(漢)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도입되어 남부 지방 일부에서부터 점차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앙법은 무엇보다 관개와 물이 필수적이다. 원래 작물을 생육지에서 다른 장소로 자리를 바꾸어 심어 가꾸는 일을 이식 재배라고 하는데,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일을 모내기 또는 이앙이라고 한다.

    벼는 이앙으로 입지와 생육 환경에 변경이 있게 되며, 이식 작업에 따르는 뿌리의 절단으로 일시나마 생육 작용이 정지되기 때문에, 벼의 성장이 직접 씨를 뿌리는 직파법에 비하여 다소 지연된다. 그러나 이앙법은 벼를 쉽게 이식할 수 있으며, 적당한 시기에 새 입지를 마련하여 주면 경작 기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경작 기회가 늘어나 윤작이 가능하고 경지의 이용도를 올리는데 유리하므로 집약 재배에 알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