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을 아프리카에 직접 끌어들어오는 빅플렌, 얕은 바다로 만들 순 없는건가요?
제가 예전부터 생각해오던건데,
아프리카에 사막화가 심각하니깐 바닷물을 직접 끌어와 해양 생물을 조성한다 (*담수화기술의 한계)
(바닷물을 끌어오는 동력은 이산화탄소 발생 걱정이 없는 핵융합기술 이용)
남.북 극지방에 얼음이 녹아 해수면 상승분을 육지로 끌어와 해수면이 상승하는 걸 막는다.
평야지대를 바다화를 시켜 해양생물로 이윤을 창출하고 해양생물(해초)을 육성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한다.
평야지대 원주민은 해양생물로 부의가치를 가져온다
우선 원주민을 동의시킨다( 살만한 터전을 조성한다, 기후온난화 방지 비용보다 티클만큼 비용적음 예상)
바닷물의 양이 어마어마합니다.
그 바닷물은 어떤 에너지로 옮기실 건가요?
어떻게 인프라르 설치하실건가요?
그리고 이 인프라로 인한 공해는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사실상 힘듭니다. 지구의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퍼 정도로 육지 30퍼에 비해 2배 이상의 양입니다. 이 해수위가 조금만 높아져도 물의 총량의 증가는 엄청나죠. 그런데, 해수위가 높아지는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육지로 물을 끌어들이려면 모든 육지로 끌어와야합니다. 바다의 해수의 양은 육지의 2배이상이며 사람들이 살고 있는 삶의 터전까지 생각하면 2배를 훨씬 넘는 양이 됩니다. 이를 고려하면 해수면의 상승을 육지로 물을 끌어드리는것만으로 막기는 힘든 일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순히 바닷물만 끌어오는 것으로 바다생태계가 원활히 돌아가지 않습니다. 얕은 바다의 경우 뜨거운 태양으로 인해 수온이 상승하여 부패하게 될 거라 가장 중요한 것은 그에 맞는 해류를 어떻게 만드느냐가 될 것입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