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엄마(외가)쪽과 더 친밀한 것은 생물학적으로 증명된 것인가요?
인간은 보통 엄마쪽, 외가쪽과 더 친밀하잖아요, 다른 생물들도 그런가요? 만약 그렇다면 생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굳이 외가와 친밀하다는 것은 굉장히 주관적인 표현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친밀감을 설명할 수는 없지만, 우리몸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는 모계유전이긴 합니다. 자식은 엄마의 미토콘드리아를.. 엄마는 외할머니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긴 하지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엄마 쪽과 더 친밀한것은 생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이 아닙니다.
생물학적인 원인보다 사회학적인 원리로 접근하셔야 됩니다.
주로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수컷이 먹이를 구해오고 암컷이 새끼를 보살피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엄마나 아빠와 친한 것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성장하면서 경험에 따라 친함이 다를 수 있죠. 생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닙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