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1.09

한국에서 일부일처제는 언제 시작됐나요?

현재 한국은 당연히 일부일처제입니다. 그런데 1900년 대의 조선시대만 봐도 양반들은 여러 첩을 뒀습니다. 그렇다면 생각보다 오래 된 것은 아닌 것 같은데 언제 시작됐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에 여성에게 처음 선거권이 주어지고 1960년대 산업화와함께 경제성장이 되면서 일부일처제가 보편화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태종 13년에 유처취처 즉 중혼을 금하는 법이 제정되면서 일부일처제가 법적으로 강력하게 규정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일부일처제가 시작된 것은 근대적인 법률이 제정된 1930년대부터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법적으론 일부일"처"였습니다

    첩은 처가 아니기 때문에 첩이라고 따로 부르는 거에요

    처=법적으로 권리가 보장되어 있으며, 남편이 함부로 대할경우 법적조치를 받을 수 있는 정식 결혼

    첩=법적인 권리가 전혀 없으며, 도덕적인 문제를 제외하면 뭐 어떻게 다뤄도 아무 문제 없는

    하지만 제사의무는 법적으로 규정된 존재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에서 일부 일처제가 뿌리 내리게 된 시기는 1920년대~1930년대는 근대적 민법체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일부일처제’가 법적으로 정착되기 시작하는 시기였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일부 일처제가 합볍화 되는 시기는 1백년도 채 되지 않는 데요. 또한 혼인신고를 통해 부부의 법률적 효력을 인정하는 법률혼주의는 1923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1930년 이후에는 축첩을 불법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일부일처제를 옹호하는 방식으로 민법의 체계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즉 우리나라가 일부일처제를 공식적으로 시행한것은 1930년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1920년대 정도부터

    근대화적인 법률 등이 도입되면서 이에 일부일처제가

    보편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