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깨끗한진도개291
깨끗한진도개29121.11.10

백신 맞고 아프면 타이레놀 성분 진통제만 먹어야 하나요?

얀센맞고 부스터로 모더나 맞았는데 근육통과 허리가 아프고 살짝 오한도 있네요 그리고 몸살처럼 온몸이 다 아픈데 진통제로 타이레놀 말고 아스피린이나 부르펜 계열로 복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백신접종 후에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이 권고되긴했지만 다른 성분 진통제를 드셔도 상관없습니다.

    2. 아스피린, 부루펜으로 드셔도 됩니다. 두 약은 식사하고 드세요.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얀센 백신 접종 후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을 접종 맞으셨는데 몸살기가 있으면 타이레놀 이외에 아스피린, 부루펜 계열의 약을 복용해도 되는지 궁금하시군요.

    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는 면역반응 과정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진통 해열제를 복용하시면 되며, 약을 복용해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 이부부루펜 성분의 진통 해열제를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형기 약사입니다.

    현재 미국CDC 권고안을 보았을 때 국소적인, 혹은 전신적인 부작용이 있을 때

    아세트아미노펜 혹은 비스테로이드성의 소염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아스피린보다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이부프로펜을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타이레놀의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만 먹을 필요는 없으나,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부작용이 가장 적고,

    다른종류인 NSAIDs계열은 항체 생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질병관리청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을 1차적으로 복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

    꼭 타이레놀만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외에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을 복용하셔도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진 약사입니다.

    우선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을 드시되, 열이 안 떨어지거나 통증이 지속될 경우에는 이부프로펜(부루펜) 성분의 약물 복용이 가능합니다.

    백신접종 후 복용이 가능한 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계열 약물과 NSAID(이부프로펜 - 부루펜 등)라고 불리는 소염진통제 계열 약물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시에 질병청과 FDA, CDC 등에서는 소염작용이 없는 해열, 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을 우선적으로 복용하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 진통제로도 열이 안 떨어지거나, 통증이 지속될 경우 주로 이부프로펜 성분의 NSAID 약물을 복용하도록 하는데요, 이 약물들은 아세트아미노펜과는 달리 소염작용이 있어서 화이자, 모더나 백신의 부작용인 심근염을 완화할 수 있어서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자들에게 이 약물들을 추천하는 의사분들도 계십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백신접종후 엔세이드계 소염진통제를 먹는 것이 맞느냐, 타이레놀을 먹는것이 맞느냐에 대해선 여러 의견이 많은 상황입니다.

    엔세이드 소염진통제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항체형성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긴 하지만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는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백신접종후 증상이 있을때 1차적으로 타이레놀을 권하고 있지만

    CDC에서는 백신접종후 타이레놀 or 이부프로펜 성분중 선택하여 먹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부프로펜은 엔세이드계 소염진통제중 하나입니다.

    제 생각에는 이부프로펜이나 타이레놀 중 선택하셔서 드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니면 두 약을 모두 준비해놓고

    타이레놀을 먹었는데도 잘 듣지 않으면 이부프로펜을 복용하는 식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두 약은 같이 먹어도 괜찮은 약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정 약사입니다.

    초기에 우리나라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을 복용하길 권장했으나 미국에서는 타이레놀이 듣지 않는 경우 이부프로펜이나 덱시부프로펜 성분등의 NSAIDs 소염진통제를 복용해도 된다는 권고사항이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을 우선 권고하는 이유는 이부프로펜이 아세트아미노펜에 비해 항체형성을 감소시킬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인데요. 실험 설계가 실제 인체에 한게 아닌 체외적으로 실험한것이기 때문에 아직 정확한 임상근거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수적으로 접근하면 아세트아미노펜 우선 복용, 이후 열이 내려가지 않거나 염증증상이 있을땐 이부프로펜 복용을 추천드립니다.

    그러나 흔히들 말하는 심근염 증상(두근거림, 흉통, 호흡곤란)등이 심하다면 병원에 가셔야 하며 1차접종때 그러한 증상이 있었다면 2차접종은 하지 않는것이 바랍직하다고 보건당국은 보고 있습니다.

    진통제와 함께 갈근탕과 쌍화탕을 복용하시면 더욱 효과가 있을것이며, 추가적으로 비타민c를 2000mg 이상 복용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희재 약사입니다.

    부루펜 아스피린 둘다 가능합니다.
    타이레놀을 제외한 다른 진통제들은 소염작용이 있는데 , 소염 작용을 한다는 건 염증을 가라앉힐수 있다는 것이고 그건 곧 면역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항체 형성에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인데, 이부프로펜의 소염 작용 정도가 굉장히 미미한 정도라 백신 접종 후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부전증 등의 기저질환이 있으신 분들은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진통제를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이부프로펜 성분의 NSAIDS 소염진통제의 경우 백신접종후 면역반응을 저해하여 항체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접종후 열감이나 두통 오한에는 우선적으로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성분의 해열 진통제를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후 아세트아미노펜 복용후에도 열이 지속되거나 가슴통증 두근거림 답답함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심근염의 위험성이 있기에 이부프로펜 성분의 소염진통제를 우선 복용하고 접종과의 인과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에 방문하시어 검사 및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수 약사입니다.

    -

    현재까지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에 통증이나 고열 발생 시

    복용할 수 있는 약제는 Acetaminophen 성분이 유일합니다. (이 성분의 대표적인 제품이 '타이레놀'입니다.)

    타이레놀 이외에도 세토펜 / 아니스펜 / 써스펜 / 이지엔6 에이스 / 타세놀 등

    동일 성분의 다른 회사 제품이 다양하게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비슷하게 해열, 진통 작용을 하는 약제로 NSAIDs 계통의 소염진통제가 있겠으나

    백신 접종 후 NSAIDs 복용 시 항체 형성을 저해할 수 있어 피하라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가 있으므로

    백신 접종 이후에는 Acetaminophen 을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에서는 Ibuprofen 도 복용이 가능하다고 권고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WHO 지침에 따라 보수적으로 Acetaminophen 을 복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염두에 두시고

    필요하신 경우 Ibuprofen 등의 부루펜 계통의 소염진통제를 복용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백신 접종 후 항체가 생기는 과정에서 몸살과 근육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타이레놀 계열의 해열진통제만 드시는 것이 좋으며 그외에 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 복용은 권유드리지 않습니다.

    이부프로펜과 같은 소염진통제는 항체생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한 후에 근육통이나 오한과 같은 증상에 1차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타이레놀의 성분 또한 아세트아미노펜입니다.

    우선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시고 그래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다른 진통제 복용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권고하는 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이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이부프로펜, 아스피린도 권고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이 잘 안들으면 이부프로펜으로 변경해서 복용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아직까진 공식적으로 권장하고 있는 약물은 타이레놀 하나입니다.

    다른 소염진통제들의 경우 항체형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어 권장하고 있지 않습니다.

    백신 접종후 증상이 있으시면 타이레놀만 복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타이레놀과 성분만 같으면 다른약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하신 뒤에 아세트아미노펜성분의 해열진통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세트아미노펜 같은 경우에는 성인 기준 하루 최대 4000mg까지 복용하실 수 있으며

    일반 타이레놀같은 경우에는 4-6시간, ER서방정 같은 경우에는 8시간마다 복용하시면 됩니다.

    해열진통제는 접종 전에 미리 복용하시는 것은 백신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증상이 없으시면 굳이 복용하실 필요는 없으시면 열이 나시거나 몸살기가 있으실 때 복용하시면 됩니다.

    이부프로펜과 같은 해열제는 백신의 항체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되도록 피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얀센맞고 부스터로 모더나 맞았는데 근육통과 허리가 아프고 살짝 오한도 있네요 그리고 몸살처럼 온몸이 다 아픈데 진통제로 타이레놀 말고 아스피린이나 부르펜 계열로 복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1차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드시고

    - 안되면 아스피린(바이러스에 복용 시 부작용 많이 발생함)은 피하고 부르펜 계열로 복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