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4.24

펭귄은 어떻게 추운겨울을 버틸수있나요?

펭귄은 추운겨울에도 얼지않고 잘 살아 남을수 있는데 이러한 펭귄이 겨울철을 잘버틸수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펭귄의 몸에는 어떤것이 숨어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병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은 추운 겨울을 버틸 수 있는 다양한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펭귄의 깃털이 두텁께 쌓여 있으며 채내에 지방층이 있어서 겨울에도 몸이 따듯합니다 또한 먹이가 많은 곳으로 이동하기 땨문에 생태적으로 적응을 잘하는 곳으로 이동합니다.


    모두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은 체온을 유지하고 추운 겨울을 버티기 위해 몇 가지 적응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는 두꺼운 깃털과 기름으로 덮인 피부로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것, 근육의 수축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것, 몸을 작게 만들어서 열을 보존하는 것, 그리고 서로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모여있는 것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의 털은 매우 빽빽하게 나있어 보온이 매우 좋다고 합니다. 펭귄은 서로 몸을 밀착시켜서 체온을 유지하며 추위를 버틸 수 있습니다. 남극 바다에는 먹이가 풍부해 펭귄은 충분한 양의 먹이를 섭취하여 체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들이 추위를 견디는 방법은 바로 '허들링(Huddling)'입니다. 허들링은 펭귄들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 둥근 형태로 모여 선 후 한쪽 방향으로 천천히 움직이면서 서로의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또 신체적인 특징으로는 밀도가 높고 촘촘한 펭귄의 깃털은 외부적으로는 방수효과, 내부적으로는 단열효과가 크다는 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은 발바닥에 원더 네트(wonder net·동맥피와 정맥피가 얽혀 있는 모세혈관 다발)라는 특수한 혈관 구조를 지녀서 열을 많이 빼앗기지 않거든요. 다른 새들은 심장에서 내려오는 뜨거운 피가 곧바로 발바닥을 데우기 때문에 차가운 얼음 위에서 열 손실이 커요. 반면, 펭귄의 발바닥 위쪽에는 심장에서 나온 뜨거운 동맥혈과 발바닥에서 올라오는 정맥혈이 서로 열 교환을 할 수 있도록 모세혈관이 그물망처럼 얽혀 있지요. 덕분에 심장에서 나온 뜨거운 피를 식혀 내려가고 발바닥은 동상에 걸리지 않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어요. 펭귄의 발을 만져 보면 다른 새의 발을 만질 때보다 더 차갑게 느껴지지만, 찬 발이 열을 지키기에 최적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셈이지요.

    펭귄은 매우 작고 촘촘한 솜털 같은 깃털이 빼곡하기 때문에 물기가 묻으면 금세 구형의 물방울로 뭉쳐지고, 둥근 물방울은 몸에서 쉽게 떨어져 얼음 결정이 생기지 않지요. 또한 꼬리와 깃털 아래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방수 기능을 강화시켜줘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의 털은 기름 덩어리입니다..

    털로 1차 보온 효과를 보구요..

    2차로 기름이 열방출을 막고 있습니다..

    또 기름으로 인해 물에 젖지도 않습니다^^

    뼈가 비어있으면 걷지도 못하고 뼈가 쉽게 부러지겠지요. 그리고 남극은 너무 추운데 깃털이 듬성듬성나있으면 곤란합니다. 그리고 오리처럼 겉에 기름이 있어야 물과 섞이지 않아서 물로 인한 저체온증에 걸리지 않고 단열 역할을 하는 공기층이 있어야 버틸 수 있지요. 그리고 펭귄은 몸을 추위로 부터 보호하기위해 총3층으로 살이 있어서 춥지 않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