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4

법정공휴일 지정이 정말 경제에 효과가 있을까요?

법정공휴일이 지정되면 국민들은 좋아하고 경제계에서는 효과가 미미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느 쪽의 의견이 더 맞는지 모르겠어요. 혹시 법정공휴일이 늘어난다면 경제(소비)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홍성택 경제전문가blue-check
    홍성택 경제전문가23.08.24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법정공휴일은 근로자들에게 쉬는 시간을 제공하여 휴식을 취하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는 근로자들의 생산성과 사회적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휴식과 여가 시간을 통해 소비 활동이 촉진되어 상점, 레스토랑 등의 서비스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법정공휴일은 여행과 관련된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장기간의 휴가나 여행을 계획하며, 이로 인해 호텔, 항공사, 교통 수단 등과 관련된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경제에 활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정공휴일이 경제에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일부 산업에서는 휴일에도 운영을 해야 하거나 휴일의 소비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업이나 서비스 업종은 휴일에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법정공휴일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며, 이는 시대와 국가의 문화, 경제 구조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법정공휴일은 경제에 일시적인 활기를 부여하고 근로자들에게 여유와 휴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 영향은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 주6일제 시절에

    주5일제 시행을 하면 소비가 위축되는 등

    부작용을 이야기하였으나 그와 달리 소비가 늘어나는 등

    경제에 도움이 된 것도 사실이니 이 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법정공휴일의 지정이 징검다리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실제로 집에서만 휴일을 보내는 사람들이 여행을 가게 되면서 경제 창출 효과가 발생한다고 해요. 하지만 지금처럼 너무 물가가 상승한 상황에서 이런 효과가 제대로 나올지에 대해서는 의문인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칼날의 양면 입니다. 즉, 공휴일이 늘면 소비지출이 늘어나면서 생산이 늘어나고, 이에 따른 일자리도 늘어날 것이라는 게 국책·민간 연구기관과 학계의 판단인데 한 연구기관은 휴일이 하루 늘면 전체 소비지출액은 2조1000억원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체 공휴일을 확대할 경우 생산 가능 일수가 줄어드는 만큼 재계에선 생산성 악화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는 입장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