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3.11.22

곤충은 등에서 어떻게 날개를 갖게된걸까요?

곤충은 다리가 날개로 진화한게 아니고 등에서 날개라는 별도 기관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등에서 날개가 어떻게 생기게 된건지 그 기원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의 날개가 생긴 가설은 곤충의 가슴등판이 넓은 판의 형태로 진화하여 만들어졌다는 "측엽기원설" 과 아가미의 구조가 날개가 되었다는 "아가미기원설" 두가지가 가장 신빙성 있는 진화설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 날개의 기원은 아직까지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크게 두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측엽 기원설은 곤충의 가슴등판이 양옆으로 뻗어 판이 형성되었고 이 판이 날개로 변했다는 가설입니다. 고생대 석탄기의 원시 유시곤충(날개 있는 곤충) 화석에 나타나는 특징이 그 증거로 제시됩니다.

    아가미 기원설은 수서곤충인 하루살이 애벌레의 배에는 홰를 치며 물 흐름을 만들 수 있는 아가미가 있습니다. 이런 아가미 같은 구조가 훗날 날개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아가미 기원설은 최근 부속지(부속다리) 기원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부속지 기원설은 곤충의 날개가 원래는 걷는 다리의 일부였으나, 진화 과정에서 걷는 기능을 잃고 날개로 진화했다는 가설입니다. 이 가설은 곤충의 날개와 다리가 유사한 구조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합니다.

    두 가설 중 어느 것이 정확한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곤충 날개의 기원은 곤충의 진화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곤충 날개의 등장으로 곤충은 육상에서 하늘로 진출하여, 지구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진화등은 과거의 자료 즉 화석을 통해서 연구되어 집니다.

    하지만 화석기록이 다 충분한것은 아닙니다.

    특히 곤충의 경우 육각류에서 지금 곤충 날개의 시조인 곤충까지 상당한 갭이 존재 한다고 합니다.

    산소 농도를 이유로 삼고 있었지만 이도 확실치는 않다고 합니다.

    물론 화석의 갭은 발견되지 못한 갭일수도 있습니다.

    현재로썬 정확한 기원은 알수 없고 화석자료로는 갑자기 나타난 형태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등에서 날개가 생긴 곤충들의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날개의 기원은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의 결과로 추측됩니다.

    과학적 연구에서 가장 통용되는 학설 중 하나는 "등의 겉감(근피)이 발달하여 날개가 생긴 것"입니다. 즉, 기생하는 도구로서 발달한 단순한 구조였던 근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날개로 진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근피의 변화는 면역계와 연관되어 있어서 면역기능을 유지하면서 날개로 발달할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또 다른 학설은 "턱다리(정각)가 운동기관으로 변화하여 날개가 생긴 것"입니다. 곤충의 후지등(Prothorax)은 날개가 달릴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로 알려져 있고, 날개의 기원이 되는 구조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턱다리의 주요 구성 성분인 근피는 날개 발달과 연결된 유전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턱다리의 근피가 여러 변화를 거치면서 날개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의 날개는 다리에서 진화한 것이 아니라 별도의 기관인 등에서 진화한 것입니다. 이는 곤충의 날개가 다리와는 별개의 구조로 발달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등에서 날개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신 것 같아요.

    곤충의 날개는 등의 표면에 있는 특수한 구조인 날개 주름에서 발달합니다. 날개 주름은 등의 표면에 있는 특수한 구조로 날개가 발달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날개 주름은 곤충의 체내에서 발달하는 세포들이 모여 형성되며 이후 날개가 발달하게 됩니다. 이는 곤충의 진화 과정에서 등의 구조가 변화하면서 발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곤충의 등이 날개를 지지하기 위한 강한 근육을 갖게 되면서 날개가 발달하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2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 날개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중 하나는 측엽 기원설입니다

    곤충의 가슴등판이 양옆으로 뻗어 판이 형성되었고 이 판이 날개로 변했다는 가설입니다

    고생대 석탄기의 원시 유시곤충(날개 있는 곤충) 화석에 나타나는 특징이 그 증거로 제시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은 언제 어떻게 날개를 가지게 되었을까? 생물 구조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화석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곤충 날개의 기원을 알려줄 결정적인 화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거나 화석으로 남은 곤충의 해부학적 구조를 비교해 추론할 수밖에 없습니다.

    곤충 날개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측엽 기원설입니다. 곤충의 가슴등판이 양옆으로 뻗어 판이 형성되었고 이 판이 날개로 변했다는 가설입니다. 고생대 석탄기의 원시 유시곤충(날개 있는 곤충) 화석에 나타나는 특징이 그 증거로 제시되었습니다. 화석에선 앞가슴등판이 양옆으로 뻗어 있는데 그것이 날개와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측엽 기원설에 맞서는 가설로 아가미 기원설이 있습다. 수서곤충인 하루살이 애벌레의 배에는 홰를 치며 물 흐름을 만들 수 있는 아가미가 있습니다. 이런 아가미 같은 구조가 훗날 날개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아가미 기원설은 최근 부속지(부속다리) 기원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시 절지동물에는 다리와 더불어 부속지라는 구조가 있는데, 이것이 갑각류에선 아가미로, 곤충에선 날개로 진화했다는 가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전적인 요인이죠.

    그리고 우리가 말하는 곤충의 정의에 머리가슴배 3구분과 일부곤충은 날개를 가지고 있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