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들은 자기 마음데로 안될때 울어버리잖아요
뭔가 표현은 하고싶은데 아직 표현은 못하니까
나 짜증난다 화난다 라는걸 울어서 표현하는 건가요?
투정부리고 이러는게 같은 이유 인기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원하는대로 되지 않을 때 울음으로 감정을 표현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고집을 피울 때는 어떤 대화를 하려고 해도 말이 안통할겁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안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상대방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너의 생각을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들이 울거나 투정을 부리는 것은 그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아기들은 말로 감정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울음이나 짜증을 내는 것으로 불편함, 불안, 화남, 또는 슬픔 등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무엇인가 원하는데 그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신체적인 불편함이 있을 때 울음으로 그 감정을 전달합니다.
또한, 아기들이 투정을 부리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투정은 아기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또는 감정적인 지지를 요청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즉, 아기가 "나는 지금 이게 필요해" 또는 "나는 지금 불만족스러워"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감정을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런 행동은 아기가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해 인식하고, 주변과 소통하려는 본능적인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기들은 성장하면서 언어 능력이 발달하게 되고, 점차 다양한 감정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언어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여 울음이나 짜증 등을 나타내면서 표현할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말을못하니깐울면서 짜증난다화가낸다로표현하는것으로
볼수있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아직 감정표현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울음이나 떼를 쓰면서 감정을 자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성장하면서 언어사용이 익숙해지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자기 마음대로 안될 때 우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을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기에 울음으로 자신의 감정을 대신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우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고 한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우는 것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면서 왜 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에 대해 설명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자신의 감정은 우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라 언어로 조곤조곤 또박또박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야함을 인지시켜 주시면서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들은 감정 표현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으면 소리를 지르거나
울어 버리는 것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은 말로 표현이 미숙한 어린 영아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이 안되기 때문에
울음으로, 또는 소리를 크게 지르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