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전 없이 살수 있는 연고를 병원 비급여로 사는 차이?
대학병원에서 쓰는 연고가 있는데 제가 필요해서 사려고 합니다.
알고보니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걸 병원에서 비급여로 처방받아 약국에서 사는게 무슨차이가 있을까요?
뭐 실비 보험에 차이가 있는걸까요?
일반의약품이고 비급여로 처방받았다면 처방전 없이 살때가 더 저렴할 수 있습니다.
급여 의약품을 딱히 처방해줄 것이 없다면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바라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추천★ 눌러주세요.
전문의약품은 의사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없습니다.
의료 보험 급여 기준에 벗어나는 경우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야기 때문에 급여 처방에 비해 내는 비용이 올라갑니다.
일반의약품을 비급여로 처방받은 때에는, 경우에 따라 실비보험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처방받은 경우에는 조제료가 포함되어 그냥 약국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가격이 비싸질 수 있습니다.
처방전 없이 그냥 약국에서 구매가 가능하다면 그렇게 사는 것이 더 저렴합니다. 병원의 경우 필요할 때 비급여로 처방을 낼 수 있으나 가격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약국에 문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된 약의 경우에는 처방이 없는 경우 구매가 불가합니다. 따라서 먼저 병원에 방문하여 처방을 받고 약국에서 구매하길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약사입니다.
병원에서 일반의약품을 처방받으신 듯 하네요. 약국에서 그냥 구매가 가능하다면 그렇게 해주세요.
비보험으로 나온것이라서 실비도 안될겁니다.
일반의약품인 연고를 사용하신다면 처방전 없이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진료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 단순히 연고만 필요하시다면,
바로 약국에서 구입하시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병원진료를 보면 진료비에, 처방전으로 약국에서 구입하는 경우
그냥 사는 것 보다 비싸게 구입하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비급여로 처방을 받는 약이 다른 약(급여)과 같이 처방이 나온것인지 아니면 단독으로 나온 것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진료를 보시면 진료비용+약값이 나오게 되고 약국에서 약만 구매하게되면 약값만 지불하게됩니다. 약값은 처방전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상이 할 수 있겠습니다. 동일한 약이 금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이 있겠습니다. 약이 같다면 위의 경우들을 고려하셔서 약을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질문주신것처럼 처방전이 있는 경우 실비보험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보험마다 상이 할 수 있으므로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