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9

최근 미세먼지가 많이 줄어든거같은데요 왜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최근에 미세먼지가 예전보다 많이 줄어든거같은데, 코로나 이전과 이후에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올해에는 급격히 미세먼지가 줄어든거 같아서요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2.12.09

    대부분 미세먼지나 황사는 중국발인 경우가 많습니다.

    중국이 공장을 가동하거나 겨울에 난방을 가동하면서 나오는 유해물질들이

    미세먼지와 황사로 우리나라로 넘어오게 됩니다.

    현재 중국은 코로나 재감염으로 인해 공장 가동이 줄어들어 한 동안 미세먼지가 사라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환경부는 11일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4㎍/㎥로, 극심한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발생했던 지난 겨울(33㎍/㎥)에 비해 9㎍/㎥ 줄었다고 밝혔다. 환경부 측은 “올 겨울 처음 시행된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에 더해 국외 유입 감소,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 등의 영향도 겹쳤다”고 설명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세먼지는 중국발 공장에서 나온 매연인데요

    최근 코로나로 공장 가동율이 줄어 미세먼지가 줄어든 것입니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가 줄어든 네 가지 이유를 들었다. ①국내 정책 효과 ②중국의 지속적인 미세먼지 개선 추세 ③코로나19 영향 ④양호한 기상조건이었다. 이를 하나하나 살펴보자. 우선 국내 정책 효과로는 2019년 12월부터 도입한 계절관리제를 들 수 있다. 미세먼지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12월~3월 동안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수도권 운행 제한,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 중단 및 출력 제한 등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도 국가 차원에서 강력한 미세먼지 대책을 추진하는 중이다. 중국 전역 337개 지역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2015년 46㎍/㎥에서 2020년 33㎍/㎥로 감소했다고 국립환경과학원은 발표했다.

    기상도 한몫했다. 비가 많이 내려 대기가 정화됐다. 2020년 전국 평균 강수량은 1588㎜로, 2019년 1184㎜에 비해 34% 증가했다. 바람도 많이 불었다. 대기 정체일(평균 풍속이 2m/s 이하인 날) 수도 2020년 245일로 2019년 256일에 비해 4.3% 줄었다.

    코로나19 영향은 어떨까. 아직 정확하게 분석하기에는 이르지만, 몇 가지 잣대가 있다. 에너지소비와 교통량이다. 국가 에너지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3.8%, 선박 입출항 수는 7.6%, 항공운항 편수는 43.7% 감소했다. 도로 교통량도 줄었다. 4월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0년 하루 평균 도로 교통량은 2019년보다 1.1%가량 줄었다. 지난 10년간 도로 교통량은 연평균 1.7%가량 꾸준히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증가세가 꺾인 것이다.

    출처 :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