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노련한날다람쥐11
노련한날다람쥐1121.06.22

운전대를 잡으면 맘이 불안한데 어떻게 하면 불안한 맘이 없어질까요?

50대 주부인데요,20대 말쯤 운전면허증을 취득했구요

잠깐 운전한건 말고 계속 운전을 하지않타가 3년전쯤

부터 운전를 다시 하려고 운행연습도 하고 나름 노력을

했는데요 운전대만 잡으면 맘이 넘 불안하고 반대편 차가

내게로 달려 오는듯 하고 앞이 캄캄해 지면서 아무생각도

나질 않네요 요즘들어 사람많은곳도 피하게 되고 가까운

곳도 혼자다니기가 불안해 집니다 이유가 뭔지 너무 답답

합니다 그렇타고 사람 만나는건 싫어 하지는 않코

대화하는 것도 좋아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심규성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운전을 하다 보면 위험을 마주하는 순간도 많고 사고가 나면 피해, 부상의 정도도 가볍지 않습니다. 긴장되고 불안을 느끼는 것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보편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유를 궁금해 하고 계신데요. 말씀하신 내용으로 보자면 질문자님께서는 면허를 소지하신 기간에 비해서 운전을 많이 하지는 않으셨습니다. 거의 새로 시작하는 마음으로 다시 연습하고 계신 상황으로 보입니다. 예전에 비해 교통 상황도 많이 달라졌으니 어찌 보면 초보와 다름 없다고 생각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아직 적응의 단계에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만일 불안의 정도가 매우 심하다고 느껴지시고 정상적인 운행이 힘드시다면 다시 운전대를 잡을 용기가 생기기 전까지 운전을 삼가시는 건 어떨까요? 구체적인 원인을 찾기에 앞서 질문자님의 안전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신정숙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상담자님!

    다양한 상황에서 운전으로 인한 충격적인 뉴스들, 또는 이런 운전의 위험성에 따른 감당할 수 없는 위험에 대한 상담자님의 지각이 뇌리에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겠구나 짐작으로 추측해봅니다.

    3년 동안이나 운전을 시도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안을 느끼신다면....

    상담자님!

    저는 굳이 운전을 해야만 하는 급박한 상황이 아니라면 운전은 기능이니 운전자옆에서 머릿속으로 늘 운행연습을 하시면서 상담자님의 마음이 편안하고 자신감이 생길 때 까지는 운전미루기를 권해드리는데...상담자님 생각은 어떠신지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구윤정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불안을 느낄만한 트라우마적인 사건을 경험하신 적이 있었나요? 아무 이유없이 불안한 마음이 들지는 않을겁니다. 운전을 반드시 해야하는 것이 아니라면 당분간 하지 않는 것도 좋습니다. 그 불안함이 어디서부터 왔는지 알아내고 없애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무엇 때문에 운전할 때 불안함을 느끼는지 그 원인부터 파악해보셔야 합니다. 이러한 불안함을 처음 느꼈던 사건과 마주하고 그 감정을 치유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종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운전하려는데 겁이 나서 운전하기 힘들다는 말씀이군요.

    여기서 주의 깊게 생각해야 할 것은 불안감입니다.

    불안감이라는 것을 이해하신다면 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단순하게 불안의 해소는 문제를 인지하고 행동을 반복하여 명확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것입니다.

    불안감이란 불확실성에서 기인합니다. 우리는 다양한 불안감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학생에게는 시험이 있을 테고, 취준생에게는 면접이 있을 겁니다. 직장인에게는 프로젝트와 상사, 클라이언트와의 면담이 불안하겠죠. 불안이 사라지게 하는 방법은 명확성입니다. 시험을 100점 맞을 것을 알면 불안해할 필요가 없죠.

    이 불확실성이 내가 생각하는 것에 반한 결과를 얻는다는 생각이 들 때 우리의 불안감은 더욱 크게 다가옵니다.

    시작에 말씀드린 익숙한 것에 불안해하지 않죠. 즉, 운전을 잘한다면, 불안해하지 않아요. 반복된 행위에 반복된 결과가 나오기에 명확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불안이 없어요.

    운전은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차이는 자전거는 넘어지면 또 일어나서 탈 수 있지만, 운전은 사고가 나면 돈과 생명에 크게 위협이 되기에 불안감이 크게 다가옵니다. 운전을 못 하니, 익숙하지 않으니 불안한 것이에요. 즉, 실수의 결과가 매우 크니 불안해집니다. 우리가 자전거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 절벽 낭떠러지에서 자전거를 배우는 것이랑 똑같은 불안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방법은 무엇일까요? 익숙하게 만들면 됩니다. “그걸 몰라서 묻냐? 운전대만 잡으면 불안하고 앞이 깜깜하니까 그렇지!”라고 답변하셔도 답은 똑같습니다.

    익숙하게 [반복] 하세요. 방법이 이것밖에 없습니다. 단계별로 안전한 곳에서 익숙하고 점점 다양하고 새로운 곳에서 그 익숙해야 합니다.

    운전의 익숙함을 단계적으로 해야 하는데 먼저 어려운 것부터 하면 실패의 경험이 쌓여 더욱 불안감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니 시간이 걸리더라도 순차적으로 익숙하게 하는 것을 권합니다. 왜냐면,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크기 때문에 자전거처럼 넘어지면서 배우는 것은 안 됩니다.

    첫 번째, 보조석에서 시작하세요.

    앞이 깜깜하다고 하시니 먼저 보조석에서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보조석에 앉아 계실 때 핸드폰을 만지거나 수다를 떨거나 전화 통화를 하고 계시는가요? 보조석의 역할은 운전자의 미숙함을 보완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같이 운전하는 것과 마찬가지예요. 익숙해지세요. 내가 운전자라면? 이라는 생각으로 좌우를 살펴보기도 하며 전방을 주시하면서 운전자와 도로를 살펴보세요. 두 번째로 넘어가기에 앞서 “운전자가 운전 참 답답하게 하네. 그리고 운전 위험하게 하네” 이렇게 두 가지 생각이 들면 두 번째로 넘어가세요.

    두 번째, 넓은 공터에서 브레이크로만 주차 연습을 하세요. 양발운전은 안 됩니다. 사고 시 동시에 밟은 성향 때문에 크게 사고 나니 한발 연습을 하세요. 자동차 운전은 기본은 안전입니다. 안전부터 연습해야 합니다.

    세 번째, 악셀을 이용하여 주차 연습을 하세요. 도로 연습부터 하지 마세요. 미세하고 세부적인 부분을 컨트롤 하게 되면 숙련도가 생깁니다. 몸이 자연스럽게 주차하게 될 때 도로 주행 하세요. 조급하게 해서 사고 날 필요가 없습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가장 중요하기에 조급해하지마세요.

    이 다음부터는 도로주행 연습이니 세부적인 것은 주변 분들에게 부탁하여 연습하시면 됩니다. 물론 돈을 들여 주행 연습을 하시는 게 좋겠지만요.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안전이 가장 중요해요. 나중에는 상대방이 개떡같이 운전해도 나는 안전할 수 있는 운전을 해야 합니다. 상대방이 피할 거로 생각하지 마시고 내가 안전한 곳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운전을 하셔야 합니다.

    안전 운전하여 다른 사람도 본받는 운전자가 되시길 바라면서 글을 마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운전을 한다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위와같이 심리적 위축의 현상으로 나타났을수도 있습니다.

    운전을 하면서 불안감을 느낀다면 먼저 한적한 곳부터 시작하여 운전을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금 한적한 시골길에서 운전을 연습을 하다가 이런 감정이 조금씩 좋아질때 사람이 조금더 많은곳

    이런식으로 점진적으로 나의 불안감을 극복하는 연습을 하다보면 좋아질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장우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악을 틀어서 들으시면서 하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극복하기 어려우시다면 라디오를 틀고 라디오DJ의 말을 들으면서 운전을 하신다면 조금은 덜 심심하고 덜 불안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강대희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불안감이 많이 높아보입니다. 누군가 나를 헤하려고 하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심해질경우 피해의식이 커지고 망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 도움을통해 피해의식의 원인을 찾고 그에대한 대처방안을 만든다면 한결 나아질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입니다.

    다시 운전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그러한 불안감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꾸준히 주행연습을 하시면

    다시 자신감을 찾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