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호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 질문드립니다.
문득 궁금한 부분이 생각났습니다.
보통 한 국가의 경제 호황기가 도래하면
동시에 물가지수와 이자율도 같이 최고로 올라가게 되나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와 이자율은 같이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물가가 상승하는 경기 과열 시기의 금리물가는 오릅니다. 그런데, 사람 심리는 희한하게도 물가가 오르면 사재기를 하게 되죠. 계속적으로 돈이 필요하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돈이 계속 필요하게 된다면 돈에 대한 대가 즉, 금리가 오르겠지요. 이제 금리가 올랐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사람들은 은행 저축과 같은 금융 상품 쪽으로 더 신경을 쓰겠죠. 결과적으로 물건, 상품에 대한 수요가 떨어 집니다. 물가가 하락하여 안정되게 될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과 물가지수는 동일한 방향성을 보이긴 합니다만, 이자율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받으므로 꼭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1) 경제성장률과 물가지수의 관계
한 나라의 경제가 호황을 맞이하게 되면, 기업의 수익이 확장되면서 임금 상승을 유발합니다. 그렇게 되면서 소비가 확대 되면서 물가는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반대로 경기가 하강국면에 돌아서면 기업의 수익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임금 상승은 멈추게 됩니다. 이러면 소비 또한 감소하면서 물가는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2) 금리인상은 어떻게 작용하나?
각 국의 중앙은행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적절한 통화 정책 시행을 통해서 적절한 물가 상승률을 유지하는 거 입니다. 앞에서 말씀 드린 것 처럼, 경기가 호황 국면에 들어서면 소비 증가로 인하여 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만약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면, 물가 상승률이 가속화 되면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는 부동산, 자산시장의 버블로도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들은 경기가 과도하다고 판단된다면 금리 인상을 통해서 경기를 진정 시키려고 합니다. 반대로 경기가 하강 국면에 돌입하면, 물가가 하락하기 시작하고 만약 이를 방치한다면 디플레이션이 고착화 되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중앙은행들은 금리 인하를 통해서, 기업들의 투자, 개인 소비자들이 지출하도록 정책을 시행합니다.
정리하자면, 소비/투자 증가 - 경기 호황 - 인플레이션 발생 - 금리 인상 - 소비/투자 하락 - 경기 침체 - 금리 인하 - 소비/투자 증가
경기 사이클은 대체적으로 이러한 흐름으로 흘러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순히 호황을 유지한다고 하여도
물가지수와 더불어서 이자율이 최고로
올라간다고 볼 수는 없으며 각종 경제 국면에 따라
다르니 참고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의 호황기가 발생한 다는 것은 경제가 팽창하게 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경제가 팽창하기 위해서는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고 이에 맞추어 산업의 발전이나 임금의 인상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기에 이 속도에 따라서 물가지수의 상승속도가 결정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승이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조건은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기에 금리는 경제호황기에는 매우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크게 증가하게 되면 이 후에 금리를 지금처럼 인상하여서 인플레이션을 잡게 되다보니 경제 사이클은 항상 금리인하(양적완화) -> 경제호황 -> 인플레이션 상승 -> 금리인상(긴축) 의 패턴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