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수한숫돌23
수수한숫돌23

왜 사람은 죽게 되면 몸이 굳으면서 딱딱해지나요?

영화나 드라마에서 사람이 죽은 후에 모습을 보게 되면 몸이 딱딱하게 굳은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왜 사람은 죽게 되면 몸이 굳으면서 딱딱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죽은 후에 몸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현상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경직 사망'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사망 후 몸의 근육이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사망 직후부터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의 원인은 사망 후 몸의 근육 섬유들이 에너지를 소모하지 못하고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면서 근육이 수축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뇌가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면서 근육을 제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사망 후 몸이 굳어지는 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망 직후 몸이 굳어지는 속도는 온도 습도 사망 시점의 신체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람이 죽은 후 몸이 굳어지는 현상은 사망 직후부터 몇 시간 동안 지속되며 이후에는 근육이 이완되면서 다시 부드러워질 수 있습니다. 이는 사망 직후부터 몇 시간 동안은 몸이 굳어져 있지만 그 이후에는 근육이 이완되면서 몸이 부드러워지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사람이 죽은 후 몸이 굳어지는 현상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죽으면 체온이 내려가며 피가 걷게 되므로 인해 딱딱하게 굳어지는 것처럼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죽고 난뒤에 시체가 단단해 지는걸 사후 경직 이라고 합니다. 사후 강직이라고 부르는 이 현상은 인체의 신진대사가 멈추게 되면 세포분열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되어 세포가 파괴되기 시작합니다. 파괴된 세포는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세포내의 칼슘이 삼툼압을 통해 이동하게 되는데 바깥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외부의 근육 및 피부 들이 딱딱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체액은 신체 내부로 향하다가 구멍이 있으면 그쪽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