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도자기를 만들 때 왜 보통 흙과 다른 석회토를 사용하나요?
도자기를 만들 때는 대부분 회색이나 탁한 갈색 흙을 이용해서 반죽을 한 다음 빚어서 여러가지 모양으로 만들잖아요.
옛날부터 흙으로 빚은 그릇을 구워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을 해왔더라고요.
밥그릇, 국그릇, 컵, 머그, 접시, 수저통, 꽃병 등 여러가지 제품을 만들 때 활용하죠.
도자기를 만들 때는 왜 보통 흙과 다른 재질의 석회토를 사용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석회성분이 들어간 흙을 사용하는 이유는 열에 의해서 다른 성분의 흙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겉에 유약을 바를때 석회성분이 들어가면 유약성분이 석회성분과 반응하여 더욱 잘 고착되기 때문입니다.
석회토의 경우 탄산칼슘이 들어간 석회석, 백운석 등인데 강도 뿐 아니라 도자기 색상을 밝게 만들어 주어 추후 색을 입혀서 원하는 색상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도자기를 만들 때 석회토를 사용하는 이유는 일반 흙보다 불에 강하고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석회토는 유약과 잘 반응해 도자기의 표면을 매끄럽고 단단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밥그릇이나 컵처럼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용기에 적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