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전선의 전압강하는 왜 생기는 걸까요?

전선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전압강하가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는 왜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전선의 전압강하는 길이에 따라 비례하여 저항 손실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일본과 다르게 110V가 아닌 220V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송전탑을 거치는 전선들 사이에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압강하 손실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선의 전압강하는 전류가 흐를 때 전선의 저항 때문에 발생합니다. 전선이 길어지면 저항 값이 커지고, 이로 인해 전압강하가 더 크게 나타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선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저항을 낮추거나, 전압을 높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품질의 전선이나 전압강하 보상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문수 전기기사입니다.

    전선이 길어짐에 따라 도체의 길이가 늘어나는데 도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저항이 있기 때문입니다. 길면 길수록 저항값도 커지구요. 따라서 짧을수록 저항값이 작아지겠지요~~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압강하 공식을 보시면, 전압강하는 전선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즉, 전선의 길이가 길수록 전압강하가 증가하고, 단면적이 넓을수록 전압강하가 줄어듭니다.

    전압강하를 낮추기 위해서는 길이가 적당하고 굵은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