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6.08

왜 여름은 상대적으로 겨울보다 해가 길게 떠 있나요?

안녕하세요

겨울에는 해가 금방 떨어져서 5시만 되도 어두웠는데,

최근 여름에 가까워지니 7시가 넘어도 굉장히 밝은데요

왜 여름은 상대적으로 겨울보다 해가 길게 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아 낮의 길이가 길고, 겨울 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 아 낮의 길이가 짧습니다.

    이는 지구 공전에 의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 낮이 긴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태양이 높게뜨고 낮이 길지만 겨울에는 태양이 낮게 뜨고 밤이 긴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있어서 여름에는 태양에 노출되는 면적이 겨울보다 길어 하루에 태양이 떠있는 시간이 긴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이 겨울보다 해가 오래 떠있는 이유는 지구의 기울기와 공전 궤도의 형태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변을 공전할 때, 기울기가 약간 있습니다. 이 기울기 때문에,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동안, 태양의 직선 조도는 계절에 따라 변화합니다. 즉, 지구가 공전하는 동안, 지구의 기울기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의 빛이 지구에 닿는 각도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여름철에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때, 태양의 빛은 북반구에 가장 직각으로 닿게 되어, 지표면을 더욱 강하게 가열합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태양의 조도가 가장 강해지고, 해가 더욱 오래 떠 있게 됩니다.


    반면, 겨울철에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때, 태양의 빛은 남반구에 가장 직각으로 닿게 되어, 지표면을 더욱 강하게 가열합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태양의 조도가 약해지고, 해가 더욱 짧게 떠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경사로 인해 여름에는 북반구에서 태양이 더 높게 떠 있고, 더 오래 동안 지위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는 태양의 경로가 더 길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여름 동안 태양이 더 오래 떠 있기 때문에 낮의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겨울에는 지구의 북반구가 태양으로부터 더 멀어지므로, 태양의 높이와 지속 시간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겨울에는 낮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 해가 긴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23.5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북반구와 남반구가 태양 빛을 받은 양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름에는 북반구가 태양빛을 많이 받으면서 더 오래 뜨고

    낮이 길다는 것을 의미하죠

    한국으 여름철 낮 시간은 통상 14시간 정도인데..이는 한국이 북위 37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며

    위도가 높을 수록 낮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셧는지 모르겠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