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대화를 잘안해서 걱정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 아이가 힘든일이던 좋은 일이던 말을 잘안해서 걱정입니다.
계속 마음속에 묻어두어서 어린애가 속병이 나지 않을까 싶은데요.
어떻게 대화를 이끌어 내야할가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평소에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 주기 바랍니다. - 아이의 평소 생활에 항상 관심을 주시기 바라며, 아이가 말을 하기 싫어하면 인정해주고 기다려 주셔야 합니다 - 가족들간에 함께 활동하는 시간을 늘리면 아이도 차츰 말도 많아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기울이고 - 그한마디에 들어간 메시지를 알아내려고 애를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들은 말 한마디를 내뱉기 전에 복잡한 내적 과정을 거칩니다. - 마음을 열고 소통하려면 먼저 지금까지의 대화 패턴을 분석해 보시고 문제를 찾아보세요. - 그 문제에서 출발하시면 됩니다. 도무지 문제를 찾지 못하겠다면 - 언제나 답은 아이에게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 아이에게 물어보시면 됩니다. 만약 아이가 대화를 거부한다면, - 카톡이나 문자로 시작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말을 안하는 아이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고 아이의 개별적 심리촉발 요인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심리진단으로 탐색을 해야합니다. 말을 안하기 때문에 답답하여 다그치거나 압력을 가하는 것은 해결방법도 될 수 없지만 아이 마음을 더 닫게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와는 대화가 중요합니다. 많은 대화가 필요로 하지만 사춘기가 시작되는 아이와 대화하기는 항상어렵습니다. 부모의 의견이 어긋나면 소리지르고, 이유 모를 반항까지 하니깐요. 다음을 생각하면서 대화를 시도해주세요 - 1.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하세요 - 2. 적극적으로 공감해주세요. - 3. 비교하지 말아주세요 - 4. 야단은 짧게 끝내주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말을 잘 하지 않아 - 대화를 이끌어 내고 싶지 않으시면 - 우선 아이가 말을 많이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그렇기때문에 여행을 자주 다니거나 -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을 자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우리 아이가 나와 소통하려 하지 않고 속으로 묵혀두는거 같아서 불안하고 걱정되시죠? - 일단은 아이의 기질을 살펴보세요. - 엄마아빠에게 시시콜콜한 이야기까지 쫑알쫑알 이야기하며 하루 일과를 모두 이야기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자기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고 조용히 지내는 아이가 있습니다. - 부모님께서는 아이가 어떤 성격인지를 먼저 파악을 하시고 전자가 아닌 후자인 경우 억지로 말을 시키거나 이야기를 해달라고 강요하지 말아주세요. - 어머니 하루 일과를 아이에게 이야기를 하며 엄마는 **이모랑 ###을 했는데 너무 좋았어. @@이는 오늘 뭐했니 오늘은 누구와 놀았는지 궁금해 라고 질문을 하며 단답형이 대답을 하더라도 아 그랬구나 그래서 너는 즐거웠니 아~ 속상했울꺼 같은데 어땠어? 등 아이의 기분을 물어주며 공감해주며 천천히 대화를 나눠주세요. - 그래도 말하기를 거부한다면 표정을 보니 너도 기분이 좋았구나? 엄마 생각이 맞니? 등의 이야기로 조금씩 대화를 시작해보시기바랍니다. - 사소한 비밀을 공유하며 꼭 지켜 달라고 하며 연대감을 심어주는것도 좋아요~ - 혹시 아이에게 형제자매가 있다면 아이들과의 대화 중 자연스럽게 끼어들어 이야기 나누는방법도 좋습니다. - 하지만 우리 아이가 혼자 있고 싶어한다면 가끔은 혼자만의 시간을 허락해주고 엄마에게 하고싶은 말이 있음 언제든지 이야기 해줘라고 하며 기다려주시면 좋겠어요. - 답변이 되었을까 모르겠네요. 아이의 성향이나 가정환경 등을 알수 없어 자세하게 도움은 못 드린것 같네요. - 추가 질문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일단은 언제나 부모님은 우리 OO이의 이야기를 듣고 싶구나 - 언제든지 기다릴게 힘들면 말해다오 라고 말을 해주세요. - 그러면서 동시에 아이의 관심사부터 이야기를 함으로써 거리를 - 좁히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말이 없는 내성적인 성격으로 보여지네요 - 이러한 때에는 아이를 활발하고 외향적인 모습을 이끌어내려고 - 노력하시는 것이 좋은데 - 운동을 시켜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아이는 부모와 분명 이야기를 하고 싶을 겁니다. 다만 어떻게 이야기하고 어떻게 소통을 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명확히 알지 못해서 매우 당황하고 있을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께서는 아이가 대화를 잘 하지 않는다고 너무 닦달하거나 잔소리 하지 마시고 아이가 먼저 뭘 좋아하는지를 확인해 보시고 그것에 대해서 부터 대화를 시작하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사소한 말에도 관심을 가지고 반응을 많이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 아이가 자신의 말에 반응을 해주고 피드백을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 점차 말하는것이 늘수있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