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숙한거위73
성숙한거위7323.12.19

인간이 자외선 적외선 같은 가시광선 외에 못 보는 이유가뭐죠?

어지간한 동물은 자외선 적외선을 볼 수 있는 시력을 가졌는데 인간은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 적외선을 볼 수 없게 진화한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이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과 적외선을 볼 수 없게 진화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우리 눈의 구조 때문입니다. 우리 눈은 빛을 받아서 신경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신경신호는 가시광선의 파장에만 반응할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더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자외선과 적외선이 인간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외선은 피부를 태우고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적외선은 눈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눈이 이러한 파장을 감지하지 못하도록 진화한 것입니다.

    그리고 인간이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과 적외선을 볼 수 있다면 우리의 시각 정보가 너무 많아지게 됩니다. 이는 우리 뇌가 처리하기에 너무 많은 정보가 되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눈은 가시광선 외에 다른 파장을 감지하지 못하도록 진화했습니다.

    우리의 생활 환경이 바뀌면서 가시광선 외에 다른 파장을 감지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이 불을 발명하고 낮에는 불빛을 이용해 활동하게 되면서 적외선을 감지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이러한 진화는 우리가 더 효율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9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고의 방식을 전환하셔야합니다.

    인간이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못보게 진화한것이 아니고

    사람이 볼 수 있는 광선을 가시광선이라고 사람들이 정의한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이 볼 수 없는 빛 들을 사람이 자외선이나 적외선으로 정의한것입니다.

    가시광선에 집중된 진화 이유

    1. 환경적 적응: 인간의 조상은 낮 시간 동안 활동하는 생활 방식을 가졌습니다. 낮에는 가시광선이 가장 강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빛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시각 시스템이 진화적으로 유리했습니다.

    2. 자외선과 적외선의 제한된 유용성: 자외선은 피부에 해로울 수 있으며, 적외선은 낮 시간에 환경을 인식하는 데 필요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합니다. 가시광선은 물체의 색과 형태를 구별하는 데 더 유용하며, 인간이 필요로 하는 복잡한 시각 정보를 제공합니다.

    3. 에너지 효율성: 가시광선을 감지하고 처리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감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 시스템은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진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복잡한 시각 처리: 인간의 뇌는 복잡한 시각 정보를 처리하도록 발달했습니다. 이는 고도로 세부적인 이미지 처리, 색상 인식, 패턴 인식 등을 가능하게 합니다. 가시광선 영역은 이러한 정보 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다른 동물들과의 비교

    • 일부 동물들은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새들은 자외선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먹이 찾기나 짝짓기 신호에 유용합니다. 또한, 일부 파충류나 어류는 적외선을 볼 수 있어, 밤에 활동하거나 열을 감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결론

    인간이 가시광선 영역에서만 볼 수 있게 진화한 것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 방식과 환경에 최적화된 결과입니다.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볼 수 있는 능력은 특정 환경이나 생활 방식에 적합한 다른 동물들에게 발달했습니다. 진화는 항상 환경과 생태계 내에서의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눈에는 가시광선만을 감지할 수 있는 색소세포가 있기 때문입니다. 자외선과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거나 길어서, 색소세포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감지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눈은 가시광선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빛만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시광선은 파장이 약 400-700nm인 빛으로, 이 범위 내의 파장을 가지는 광선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의 무지개 빛으로 인식됩니다.

    그리고 자외선과 적외선은 각각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거나 긴 빛입니다. 자외선은 파장이 매우 짧고 에너지가 높은 전자기파로, 파장이 400~10nm 사이에 있으며 적외선은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길고 에너지가 낮은 전자기파로, 파장이 700nm 이상입니다.

    인간의 눈은 이러한 자외선과 적외선을 감지하는 능력이 없습니다. 이는 우리의 시각 시스템이 가시광선 범위의 빛을 감지하도록 진화한 결과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