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2.12.23

지구는 온난화라는데 겨울은 왜 더 추워지나요?

올겨울. 최악의 한파라고 하던데요 지금도 엄청 춥고요. 그런데 지구는 온난화라고 하는데 왜 겨울은 더 추워지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3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의 개념은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는 기후변화를 의미합니다. 지구온난화라고 해서 모든 지역의 기온이 함께 올라가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온난화로 북극과 남극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제트기류가 약해져서 지역에 따라서 기록적인 폭염과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한파가 발생하게 됩니다. 제트기류가 막아주던 북극의 찬공기가 더 아래까지 내려오면서 우리나라도 한파를 격고 있는 것입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여름은 더 뜨거워지고 겨울은 더 차가워지고 있습니다.


  • 르 샤틀리에 원리는 화학 평형이동의 법칙이 있습니다.

    이 원리는 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인다는 개념입니다.

    이 법칙을 지구온난화에 적용해보면,

    지구는 높아진 온도만큼 다시 지구의 온도를 낮추려고 합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가 온다면 지구가 전체적으로 따뜻해지는 것이 아니라

    여름엔 매우 뜨겁고 겨울은 매우 차가운 것이 반복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가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제트기류로 가두어 놓았던 북극의 찬바람이 밑으로 내려온다는 겁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건도하고 차가운 시베리아 계절풍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런데 편서풍으로 인해 가두어줬던 그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또 지구온난화로 인해 얼음이 많이 녹아 시베리아 쪽에 큰 고기압이 발달하게 됩니다. 그것 때문에 갈수록 더 추워집니다. 앞에서 언급했던 대륙성 고기압 저온건조 시베리아 계절풍 때문입니다.

    결국 지구온난화가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면 북극과 중위도 지방의 기압차가 줄어들고, 온도나 기압차이가 줄어들면 제트기류 힘 역시 약해지게 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방으로 유입되었는데요. 즉, 북극발 찬 공기가 지난 10월 한파의 주범인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는 지구가 더워지는건 맞지만 가장 큰 재앙은 이상기온 현상입니다. 이는 폭염 뿐만이 아니라 폭설도 포함이 됩니다. 즉 대기와 기후가 예측할 수 없이 이상해 지는거죠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난화가 지속되면서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고 있는 제트기류가 약화되면서, 찬 공기가 남하해서 겨울에는 더욱 추운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