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할 때 레진한 부분이 떼어져서 음식이 끼어 통증이 있는데, 기존 재질보다 다른 걸 선택해야 하나요?
남편이 저녁 먹을 때 갑자기 소리를 질러서
왜그러냐고 물었더니 때운 부분 빈공간에
딱딱한 음식이 들어가 씹으면서 통증이 생겼다고
하네요
먹는 걸 너무 좋아해서 저작운동을 많이 해서 그런지
쉽게 떼어지더라구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딱딱한 것을 최대한 피하시는 것이 좋고 계속 떨어진다면 크라운 등의 다음 치료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음식물이 레진부위에 끼어있는 경우 다시 떼어내고 재치료가 필요로 되기에 빠른시일내에 치과 진료를 권합니다. 레진보다는 금이 밀찰력 및 내구성 면에서는 더 좋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물론 직접레진수복보다 강도가 단단한 것은 간접수복물(인레이)입니다. 다만, 인레이의 경우 비용이 좀 더 비싸고, 치아에 크랙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씹는 힘이 강하고 딱딱한 음식을 좋아하면 인레이가 파절되거나, 치아에 크랙이 유발될 확률이 높으니 이건 알고계셔야 합니다.
일단은, 현재 상태로서는 떼운 부분이 깨졌기 때문에 어떤 재료를 하든 처치는 받으셔야 합니다. 그 상태로 그냥 두면 물론 음식 드실 때도 불편하실 것이고 음식물이 낀 채로 쐐기 효과가 작용하면 치아가 더 깨져나갈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순민 치과의사입니다.
밥 먹다가 소리를 지르셔서 깜짝 놀라셨겠네요. 때운 부위가 있는 치아 인가 봅니다. 그 근처에 빈공간이 생겼고요. 사진이 없기에 일반론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치아에 구멍이 생기면 가급적 빨리 치과에 내원하시는게 유리합니다.
1. 기존 수복물이 일부 탈락해서 생긴 공간에 음식물이 끼면서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시 떼워주기만 하면 됩니다. 재질은 크게 상관 없습니다. 담당 치과의사 선생님과 상의해주세요.
2. 수복물 옆의 빈공간이 충치가 생긴 경우. 충치치료 혹은 오래동안 방치 된다면 신경치료-크라운까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가급적 빠른 치과 내원이 필요합니다.
3. 수복물 탈락하고 그 주위에 금이 간 경우. 신경치료-크라운이 필요 할수 있습니다.
2,3번의 구분은 3번은 씹었다가 뗄때 찌릿한 통증이 특징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레진으로 7월 한 부위가 자주 탈락되거나 한다면 좀 더 강한 재료로 해당 부위를 치료해 주는게 좋을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끼게 되면 잇몸에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치아 사이는 음식물이 끼지 않도록 잘 메꿔 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