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경제적 용어 버블을 정의 할수 있나요?

버블이라고 하는 것은 과연 어떻게 정의 할수 있나요?

경제적 측면에서 본래의 가치와 이보다 비싼 가격을 의미하는 버블을 어떻게 정의하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은 경제적 현상으로, 자산의 본질적 가치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가격이 형성되고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자산의 실제 가치보다 시장의 심리적 요인, 과도한 기대, 혹은 투기적 수요에 의해 가격을 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버블은 과잉 낙관으로 인해 특정 자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시작됩니다. 하지만 그 기반이 되는 내재적 가치나 경제적 실체와는 무관한 경우가 많아, 결국에는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며 시장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17세기 네덜란드의 튤립 버블, 1990년대 후반의 닷컴 버블, 그리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이 된 주택 시장 버블이 있습니다. 버블은 투자자들에게 심각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종종 경제 전반에 걸쳐 충격을 유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버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특정 자산의 '내재 가치' 대비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비싼 상태를 정의한다고 할 수 있는데, 그냥 아주 쉽게 본다고 한다면 2007년 당시의 주식시장, 2021년 한국의 부동산 시장 등이 대표적인 버블의 예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은 자산의 본래 가치보다 가격이 과도하게 높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기대와 투기심리로 가격이 계속 오르다가 결국 터져 가격이 급락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버블이라는 것은 결국 터지기 전까지 알 수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하나의 물건에 대해서도 사람들의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비싸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금의 경제도 버블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결국 다수의 생각이 버블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제까지 버블이 터질 때를 보면 모두 단번에 예측해낸 적은 없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적 용어인 버블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버블은 어떤 자산이 갖고 있는 내재가치보다 시장 가격이

    너무 높게 형성된 경우에 그 차이를 버블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말하는 버블은 투자나 생산 등의 변동이 없어도 물가가 오르며 투기가 과열되는 현상을 거품현상, 버블이라고 합니다.

    경제가 호황일경우는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며 실적이 개선되어 주가가 올라갑니다. 이때 투자자들은 이런 현상을 보고

    일시적인 부분이 아닌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더 투자하여 주식 가치를 높이죠.

    기업의 가치는 100인데 주가는 120이 되는 것이죠. 실제 가치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는데 거품이 끼었다고 합니다.

  • 이런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경제적 측면에서 버블은 자산의 가격이 원래 본질적인 가치보다 과도하게 상승하고 이로 인해서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몇 프로 이상 올랐을때 버블이다라고 정의하기는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