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도시점의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미국주식하고있는데 현재 브로드컴 30%로 수익보고있거든요
매도해야할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다른 분들은 매도기준이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매도시점은 처음부터 주식이나 아니면 코인을 매수하셨을때 동시에 매도시점까지 정하셔야 합니다. 주식에서 가장 어려운것은 매수가 아니라 매도라고 하는 이유도 대부분의 투자자가 정확하게 매도에 대해선 고려를 안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브로드컴은 AI쪽에 있어서 칩들간의 통신이 매우 중요하며 이들과의 연결성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입니다 바로 이 부분에서 브로드컴이 강력하게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엔비디아나 다른 AMD나 어떤곳에서 반도체 칩을 장악하더라도 브로드컴이 이시장을 강력하게 잡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시나리오로 접근하셧다면 30%의 수익률이 기준이 아니라 이런 시나리오가 유지되고 있다면 홀딩이며 이 시나이로가 깨지고 주요 빅테크가 쓰지 않거나 다른 쪽에서 경쟁사로 쓰인다는 뉴스가 나오면 매도를 잡는 시나리오로 가는것입니다.
아니면 처음부터 나는 30%~50%만 먹을생각으로 들어가셨다면 이렇게 매도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또 반대로 매년 연평균 수익률 10%정도를 보이고 있는 록히드마틴을 매수하셨다면 록히드마틴은 정부의 지원사업으로 매출 상한이 정해져있습니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서 10~20%정도 과열되게 상승하면 매도를 잡거나 다시 바닥에서 매수를 하는등 이런 형태로 트레이딩 바이로 접근하셨다면 이런형태로 매매를 하는것입니다.
즉 주식의 특성에 따라서 그리고 내가 매수를 했을떄 어떤 가정하에서 매수를 했고 그 가정이 깨지면 매도를 하는게 원칙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목표수익률 기반으로 매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식을 투자할때 본인의 설정 목표가 있습니다. 감정을 배제할수 있으며 수익을 확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더 오를수 있는 기회를 놓칠수 있습니다.
일단 원금만틈 매도해 원금을 확보한후 나머지 수익 만큼은 보유하면서 재투자를 하시는 전략도 나쁘지 않은 투자 방법입니다.
모쪼록 투자에서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매도 시점의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이 부분은 어떤 공식이나 가이드 라인이 있지 않습니다.
본인이 그 익절 선을 설정하고 본인의 만족도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매도 기준을 잡을때엔 정성적으로 이젠 성장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거나, 정량적으로 자신이 설정한 익절, 손절 %까지 도달했을 때 매도하는 것인데요.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