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페퍼민트
페퍼민트22.07.29

좌식 생활이 자리잡게 된 배경이 궁금합니다

현재 좌식 생활을 하는 국가는 한국가 일본이 대표적이자 거의 유일하다고 하고, 태조왕건 시기만 해도 침대나 의자를 사용했는데,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좌식 문화를 갖게 된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고구려 때부터 온돌을 사용해 추위에 대응한 오랜 역사가 있는데요. 크게 보면 온돌문화와 연결된 문화로 보입니다. 그럼 왜 조선인가 하면, 고려의 의식주 생활문화보다 더 조선 문화가 더 연구되어 그런 측면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생활상의 질이 높아져야 가능한 측면도 있어 보입니다. 고려의 지배층에 비해 조선 사대부는 중소지주층이고 고려에 비해 작고 아담한 주택이 다수였고 이 속에서 좌식문화가 퍼진 것이 아닌가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조선이 건국되면서 제사 문화, 유교 & 성리학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거주나 문화 등에서 좌식 생활이 활성화 되었으며, 바른 자세로 앉기 등은 웃어른 앞에서 아랫사람이 마땅히 행해야할 행동이었으므로 자연스럽게 자리잡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유교, 성리학 문화 자체가 웃어른에 대한 공경을 아주 중요시하는 문화였기 때문에 소위 웃어른 앞에서 서있거나 의자에 앉는 행위는 불손하다라고 여겨졌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