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트럼프 1기때 관세전쟁과 현재 트럼프 2기때의 관세전쟁은 금리에 대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데 현재가 그때보단 더 환경적으로 좋은 조건이라 할 수 있나요?
2018년 트럼프 1기 때도 관세전쟁이 있었지만
그때는 금리를 인상하는 흐름이었다면
현재는 이미 인상된 금리는 어떻게든 내리려는 것이 한가지 차이점인 것 같습니다
2018년에도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을 했다가 다시 회복세를 보였고
결국 우상향을 하였는데
현재 경제환경을 고려한다면 2018년의 관세전쟁때보다는 더 유리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나요?
2018년 세계경제환경에 비하면
현시점의 관세전쟁이 끝나면 더 큰 상승을 가져올 가능성이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관점을 말씀 드리자면 과거 18년도 관세 전쟁 당시에는 금리 인상 분위기와 맞물려 시장 부담이 컸지만 현재는 이미 높은 금리를 인하 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형성 되어 있기에 유동성 회복 기대감이 크다고 봅니다.
이에 현재 관세 리스크가 해소 된다면 과거 18년보다 더 강한 반등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관세정책이 끝난다면 2018년 보다 더 우호적으로 주식시장 상승세를 가져올 수 있지만, 정상적이지 않고 장기적으로 관세 정책이 이어지면서 세계 여러나라에 인플세이션이 발생하면 주식시장은 오랫동안 암흑기에 빠져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2018년은 금리 인상기였던 반면 현재는 금리 인하 기대가 형성되어 유동성 측면에서 유리한 환경입니다.
또한 팬데믹 이후 확장된 재정정책과 기술주 중심의 회복 흐름이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공급망 불안은 여전히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2018년보다 회복 여력은 크지만, 상승 폭은 정책 대응과 심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때와 지금의 차이점은 말씀하신대로 금리의 위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는 이미 강달러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트럼프가 금리를 내리기를 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이 좀 더 유리한 상황에 있고 미국이 전세계에게 인플레이션을 수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현시점에서 관세 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미국보다 타국가가 입을 피해가 더 큽니다
잠재적인 리스크로는 미국vs전세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미국은 주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시절의 관세 전쟁과 현재 트럼프 2기 시나리오에서 예상되는 관세 전쟁은 금리 및 경제 환경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보이며, 이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시절 당시 미국 경제는 비교적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고,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점진적인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이는 관세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는 요인이었습니다. 현재 글로벌 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큰 상황입니다. 미국 연준은 고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경제 성장 둔화 우려로 인해 금리 인하 압력 또한 존재합니다. 관세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은 금리 인하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